경제·금융 경제동향

재생에너지3020 '마지막 퍼즐' 해상풍력 730㎿ 시동 걸었다

[산업부,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포럼 개최]

영국 런던 근해에 있는 ‘런던 어레이’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설치된 터빈이 돌면서 전력은 생산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London Array영국 런던 근해에 있는 ‘런던 어레이’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설치된 터빈이 돌면서 전력은 생산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London Array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는 해상풍력 발전소 730㎿ 계획이 시동을 걸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산업계, 학계 및 지자체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선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제시한 전체 신규 설비용량 48.7GW 중 12GW에 달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밑그림이 나왔다. 우선 정부는 지자체가 발굴·제안하는 계획입지 위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전북 군산 말도 인근 110㎿ △전남 영광 안마도 인근 220㎿ △경북 영덕군 인근 100㎿ △경남 통영 욕지도 인근 100㎿ △울산 동해가스전 주변 200㎿ 등 5개 광역지자체가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2GW 규모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연계하여 해상풍력 산업화 촉진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역주도 단지조성 및 조선해양산업 연계 전략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선순환체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도 단기적으로 중소규모(500㎿이하) 해상풍력 발전소 보급과 트랙 레코드 확보,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 및 조선·해양산업과의 융복합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이를 동북아 슈퍼그리드(Super-Grid)와 연계하는 등의 전략을 바탕으로 수출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해상풍력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先) 풍력단지 조성, 후(後) 사업자 개발방식’을 통해 사업지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제거해 민간투자(Project Financing)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이날 포럼에선 지자체 발굴·제안 사업에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추가 부여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 경우 100㎿ 해상풍력단지를 운영하는 사업에서 매년 20~30억원의 수익이 지자체와 주민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