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월 출생아 1981년 이후 최저…30년 후 인구절벽 올 듯

통계청 27일 인구동향 보고서 발표

출산 많은 33세 인구 급감

인구절벽 30년 후 가시화

통계청은 27일 인구동향 보고서를 통해 지난 4월 출생아 수가 2만7,700명으로 1년 전보다 2,700명(8.9%)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통계청은 27일 인구동향 보고서를 통해 지난 4월 출생아 수가 2만7,700명으로 1년 전보다 2,700명(8.9%)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올해 4월 국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27일 인구동향 보고서를 통해 지난 4월 출생아 수가 2만7,700명으로 1년 전보다 2,700명(8.9%) 감소했다고 밝혔다. 4월 출생아 수가 3만 명에 달하지 못한 것은 월별 출생아 수 통계를 정리한 1981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같은 달끼리 비교한 출생아 수는 작년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12개월 연속 역대 최저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올해 1∼4월 출생아 수는 11만7,300명으로 역시 통계작성 후 가장 적은 수치였다. 1∼4월 출생아 수는 2015년 15만6,024명, 2016년 14만7,513명, 2017년 12만9,000명으로 집계되는 등 해가 갈수록 현저하게 줄고 있으며 12만명을 밑돈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관련기사



통계청 ‘인구동향 보고서’ 발췌통계청 ‘인구동향 보고서’ 발췌


관련 당국은 인구 구조가 출생아 감소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 과장은 “아이를 가장 활발하게 낳는 평균 출산 연령은 33세인데, 주민등록상 이 연령의 인구가 전년 동월보다 11% 정도 줄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20대 후반의 인구는 많은 편이라서 현재와 같은 출생아 감소 추세가 이어질지, 출생아가 향후에 다시 늘어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당장 시작되지는 않았으나 30년 정도 후에는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전국 17개 지역별 1∼4월 출생아 수를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세종(8.3%)이 유일하게 늘었고, 강원은 작년과 같은 수준이었으며 나머지 시도는 모두 줄었다.

4월 사망자 수는 2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900명(3.9%) 증가했다. 올해 1∼4월 사망자 수는 10만5,800명이었다.

올해 4월에 신고된 혼인은 2만600건으로 1년 전보다 500건(2.5%) 늘었고 같은 달 신고된 이혼은 8,700건으로 800건(10.1%) 늘었다. 결혼 생활 기간이 5년 이내인 부부가 이혼하는 사례는 줄었으나, 30년 이상인 부부의 이혼을 뜻하는 황혼 이혼이 늘면서 전체 이혼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신경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