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용산전자상가·중구 정동 일대 등 14곳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추가 지정

서울시내 법정 도시재생 구역 13곳에서 27곳으로 확대

도시재생 유형에 '거점확산형' 신설

서울시 신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14곳서울시 신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14곳



서울시가 용산전자상가, 영등포·경인로 일대, 마장축산물시장 일대, 안암동 캠퍼스타운 등 14곳을 서울형 도시재생의 대표모델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 전략적으로 이들 지역 도시재생사업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28일 열린 도시재생위원회 심의에서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정 가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서울형 도시재생’의 방향과 구체적 추진 전략을 담은 도시재생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번 심의를 통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등 기존 13곳에서 27곳으로 확대됐다. 신규 지정된 영등포·경인로 일대, 용산전자상가, 중구 정동 일대, 청량리종합시장 일대 등 14곳은 현재 도시재생 계획수립∼사업실행 단계에 있는 지역이다. 그 동안 공공 마중물 사업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했던 곳인데 도시재생 법정 지역이 됐기 때문에 주택도시기금을 통한 수요자 중심형 지원,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융자 지원을 받아 민간 사업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


도시재생 유형도 기존의 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에 더해 ‘거점확산형’이 신설됐다. 소규모 구역, 필지 단위로 재생사업을 벌이는 게 특징이다. 돈의문 역사문화공원처럼 역사·공원을 만들거나 구도심 내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게 대표적인 거점확산형 도시재생 방법이다. 대규모 지역 단위로 지정돼 시간이 오래 걸리는 기존 도시재생을 보완해 체감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서울의 5대 권역별(도심권,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 통합 도시재생구상도 새로 제시했다. 도심권역은 역사, 문화, 경제, 생활자산을 활용해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글로벌 문화중심지로 위상을 강화한다. 동남권역은 국제업무, 관광, 쇼핑과 문화가 융복합된 글로벌 도시를 만들고 주거지를 계획적으로 관리한다. 동북권역은 역사, 자연자원과 지역산업을 특화해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 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한다. 서북권역은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대학과 연계한 창조산업을 특화하고 문화관광 네트워크와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한다. 서남권역은 산업혁신으로 미래 신성장거점을 육성하고, 주민 생활기반 강화로 삶의 질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시는 또 정부가 올해부터 도시재생 뉴딜 신규 사업지에 서울을 포함한 만큼 정부와의 협력을 도시재생전략계획 기본방침에 명시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변경된 새로운 전략계획을 통해 ‘시민이 행복하고 지역이 활력있는 도시재생 특별시, 서울’ 만들기에 한층 더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