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주 제2공항 타당성 재조사 시작..아주대 산학협력단이 맡아

제주 제2공항을 짓는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타당성 재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용역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최근 6·13 지방선거 제주지사 선거에서 제주 신공항 문제가 첨예한 이슈로 제기된 가운데 사업자 철수 등 우여곡절을 겪은 용역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반응이 주목된다.




지난 2월 11일 제주국제공항 앞에서 제주 제2공항 반대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는 ‘뭐라도 하자’ 시민모임 구성원들 /사진=연합뉴스지난 2월 11일 제주국제공항 앞에서 제주 제2공항 반대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는 ‘뭐라도 하자’ 시민모임 구성원들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제주 제2공항 입지 선정 타당성 재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국토부는 용역업체로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하고 지난달 29일 계약했다. 용역 중 타당성 재조사는 아주대 산학협력단이 맡는다.

당초 용역업체로 유신컨소시엄이 선정됐으나 지역사회의 반발로 정식 계약을 앞두고 사업에서 철수함에 따라 국토부는 재공고를 통해 사업자를 새로 뽑아야 했다.


타당성 재검토는 국토부가 과거 수행한 제2공항 타당성 검토 결과를 재검토함으로써 당시 검토 과정에 오류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기사



타당성 재조사 이후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착수되면 예정지역 범위와 공항시설 규모 및 배치, 운영계획, 재원조달 방안, 주민 지원 방안 등이 검토된다.

앞서 국토부는 2015년 11월 현 제주공항의 혼잡과 안전 위험 등을 이유로 제2 공항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당초 계획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약 500만㎡ 부지에 2025년까지 4조8천700억원을 들여 연간 2천5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신공항을 짓는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타당성 검토에 오류가 많아 믿을 수 없다며 반발했고, 국토부는 결국 타당성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최주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