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노총 복귀한 최저임금위 5일 '1차 제시안' 밝힌다

"1만원 달성 주력" 勞, 20%대 인상요구할까

한국노총의 복귀로 노사정 대화를 겨우 복원한 최저임금위원회가 2019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2주간의 릴레이 협상에 돌입했다.

최저임금위는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내년 최저임금 인상 수준을 논의하기 위한 제9차 전원회의를 열었다. 위원회는 오는 14일까지 회의를 여섯 차례 더 진행할 계획이다. 류장수 최저임금위원장은 앞서 “14일까지 내년 최저임금을 의결해 고용노동부가 8월5일까지 고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최저임금위는 사용자위원과 공익위원 외에 한국노총 추천 근로자위원 5명이 참석했다. 최저임금위는 공익위원 9명, 근로자 위원 9명, 사용자(기업) 위원 9명 등 총 27명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노총 측 근로자 위원들의 최저임금위 복귀는 지난 5월 말 최저임금법 개정안 통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민주노총은 여전히 불참 의사가 확고하다.

관련기사



노사는 오는 5일 각각 최저임금 최초 제시안을 제출하고 본격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근로자위원인 이성경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이날 회의에 앞서 “개정 최저임금법은 시행되기 전 근본적으로 재개정돼야 한다고 보지만 2019년도 적용 최저임금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 다가왔다”며 “한국노총은 저임금노동자 500만명의 생명줄을 지키고 소득주도성장과 온전한 최저임금 1만원을 달성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근로자 측 의사에 따라 올해 16.4%나 인상된 최저임금(시급 7,530원)이 내년에 더 큰 폭으로 오르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로 공식 인상률보다 근로자의 기대이익이 줄었다고 주장하는 노동계는 20~25%의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할 것이라고 재계는 내다본다. 사용자위원인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는 “노동계가 전원회의에서 당장 1만원을 최저임금 인상액으로 제시할 수 있다”며 “최저임금 인상의 직접 충격을 받는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있는 요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세종=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