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40 직장여성 "이상적 자녀수는 2명 현실을 고려하면 1명"

향후 결혼 계획 묻는 질문에 '결혼하지 않을 것', '모르겠다' 답한 비중 60.6%

저출산 극복 위해 일·생활 균형과 조직문화 개선 필요





20∼40대의 일하는 여성들은 2명을 이상적인 자녀 수로 여긴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현실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1명’으로 줄었다./출처=연합뉴스20∼40대의 일하는 여성들은 2명을 이상적인 자녀 수로 여긴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현실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1명’으로 줄었다./출처=연합뉴스


20∼40대의 일하는 여성들은 2명을 이상적인 자녀 수로 여긴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현실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1명’으로 줄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20∼40대 여성 근로자 516명을 상대로 ‘2018년 저출산 정책에 대한 2040 여성 근로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2040 여성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의 평균은 2.0명, 현실적인 자녀 수 평균은 1.2명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상적인 자녀 수에 대해 응답자들 중 ‘2명’이 63.2%였고, ‘3명’(16.0%), 1명‘(13.6%)이 뒤를 이었다. ’0명‘은 3.0%에 그쳤다. 이에 비해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 수는 ’1명‘이 절반에 가까운 47.9%였고, ’2명‘이 33.9%, ’낳지 않겠다‘는 응답이 15.5%였다. 평균을 내면 1.2명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나는 이유로는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직장 여성들은 ’소득 및 고용 불안‘(30.6%), ’사교육비 부담‘(22.3%) 등을 저출산 원인으로 꼽았다.

관련기사



미혼 직장 여성들에게 향후 결혼 계획을 질문에 ’결혼할 것‘이란 답한 비율은 39.4%에 불과했다. 반면 ’결혼하지 않을 것‘(26.3%)이나 ’모르겠다‘(34.3%)는 응답은 60.6%에 달했다. 결혼 계획이 없거나 모르겠다고 답한 이들은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46.3%),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20.6%), ’일·생활 균형이 어려운 사회·근로 환경 때문‘(11.4%) 등을 이유로 밝혔다.

또한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육아휴직의 사용률이 길어지고 기간 또한 늘어났다. 여성 근로자들이 다니는 직장 규모와 육아휴직 사용 비율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300인 이상 기업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의 50.0%가 육아휴직을 사용했지만 50∼299인 기업에서는 38.5%,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28.9%에 그쳤다. 육아휴직 사용 기간도 300인 이상 기업의 여성은 평균 11.8개월인 데 비해 50∼299인 기업은 10.2개월, 50인 미만 기업은 5.8개월로 나타났다.

일하는 여성들은 저출산 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일·생활의 균형과 조직문화 개선을 들었다. 가장 필요한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80.0%)를 1순위로 꼽았다.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으로는 ’출산·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문화 개선‘(42.3%), ’유연근무제, 임산부 단축근무제 등 시행‘(25.2%)을 지목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실장은 “정부는 기업이 더 많은 여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들도 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