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017670)과 KT가 통신 분야의 남북 경제협력 방안을 놓고 상반된 전략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1위 무선사업자인 SKT는 ‘모바일 퍼스트’를, 남북통신협력을 주도해온 KT는 ‘주전선수 중심 대북 사업’을 주장하고 있다.
SKT와 KT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남북 ICT(정보통신기술) 교류협력 방안 정책 세미나’에서 북한의 통신 인프라 지원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김순용 KT 정책협력담당 상무는 “북한의 문호가 개방된다고 모든 사업을 남한에 줄 것이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라며 “오히려 중국 등이 기득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상무는 “정부가 각 분야의 주전선수를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할 필요가 있다”라며 “북한과 교류해왔고 인프라를 깔았던 주전선수를 중심으로 하고 나중에 문호가 완전히 열리면 다른 기업들도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다른 국가들과 경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동안 북한 통신 인프라 지원을 담당해 온 KT를 중심으로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해석된다.
김 상무는 또 “북한의 초고석 인프라 시설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다”라며 “실제로 선을 깔아서 서비스를 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기 때문에 위성이 큰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KT의 위성서비스 자회사인 KT SAT는 남북한을 연결하는 위성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반해 SKT는 무선 중심의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성은 SKT CR혁신TF(태스크포스)장은 “모바일 퍼스트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며 “유선망에 비해 무선망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구축이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T의 위성 기간망 구축에 대해선 “용량, 안정성에 한계가 있다”라며 “해상이나 산간, 오지 등에서 일부 제한적으로 활용할 옵션이지 근본적으로 전국망 구축의 대안은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SKT와 KT는 통신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은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윤 SKT 상무는 “통신은 전력, 철도, 도로 등과 같은 기본 SOC(사회간접자본)인데 밀려 있다는 느낌이 든다”라며 “통신을 부수적인 지원 수단이 아니라 경제협력 자체 분야로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KT 상무도 “정부가 철도와 도로 등을 확인하는 실사단을 구성해 북한에 파견할 예정인데 통신도 함께 참여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