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방부, 일선 기무부대 감독하는 '60단위 기무부대' 폐지 검토

국군기무사령부 전경./사진=기무사령부 홈페이지국군기무사령부 전경./사진=기무사령부 홈페이지



국방부가 일선 기무부대 감독하는 ‘60단위 기무부대’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8일 발표한 입장 자료에서 국군기무사령부 개혁위원회, 이른바 기무개혁TF에서는 기무사 본부 조직뿐 아니라 ‘60단위 부대’를 포함한 전 기무 예하부대에 대한 조직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60단위 기무부대’는 서울을 포함해 광역시·도 11곳에 설치된 대령급 지휘 기무부대를 말한다. 이들 기무부대는 각 지역 일선 기무부대를 지휘·감독하는 목적으로 창설됐으며, 600부대, 01부대 등으로 불려 이른바 ‘60단위 기무부대’로 불려왔다. 이들 부대의 전체 요원만 해도 서울 지역 100명을 포함해 1,0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관련기사



이번에 국방부가 60단위 기무부대 폐지를 검토한 데는 기무개혁TF의 지적이 컸다. TF는 ‘60단위 기무부대’가 일선 군부대에서 활동하는 기무부대와 업무 영역이 중복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군의 한 소식통은 8일 “국방부의 ‘기무사 개혁TF(테스크포스)’에서 기무사 개혁 일환으로 지역 기무부대를 지휘 감독하는 60 단위 기무부대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작 개혁의 대상인 기무사는 TF의 이런 입장에 반대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기무사 측의 태도에 대해 여론의 시선은 차갑기만 하다. 댓글 조작은 물론 세월호 사고 유족사찰까지 온갖 불법 정치개입을 하고서도 반성과 뼈를 깎는 개혁을 하기는커녕 조직보호에나 나서는 기무사의 이기적인 태도에 반발이 거세다. 이에 대해 기무개혁TF의 관계자는 “군은 국방개혁에 따라 전체적으로 76명가량의 장군 직위를 축소하고, 오는 2022년까지 11만 명이 넘는 병력을 감축하는 계획을 수립했다”면서 “기무사는 사령관(중장), 참모장(소장), 각 처장(준장)들의 계급을 낮출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