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퀴어축제 가보니] "동성애자 반대 NO, 음란 축제 반대 YES"...퀴어문화축제에 보수단체 맞불 집회

개신교계 등 보수 성향 단체 맞불집회 열어

반대집회 측, "국민 67%가 반대하는 음란 축제 허용 서울시 문제"

"국민 22만명 퀴어문화축제 음란성 문제 있다고 청원 동의"

14일 오후 성(性)소수자 축제인 ‘서울퀴어퍼레이드’ 행사가 열린 서울광장 앞에서 한 시민이 대한문 앞에서 열린 퀴어축제 반대집회 안내판을 들고 있다./연합뉴스14일 오후 성(性)소수자 축제인 ‘서울퀴어퍼레이드’ 행사가 열린 서울광장 앞에서 한 시민이 대한문 앞에서 열린 퀴어축제 반대집회 안내판을 들고 있다./연합뉴스



국내 성 소수자들의 최대 축제인 제19회 서울퀴어문화축제가 서울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14일 오전 11시부터 열린 가운데 개신교계 등 보수 성향 단체들의 맞불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청계광장과 서울파이낸스센터 앞에서는 개신교 단체인 홀리라이프와 건전신앙수호연대가 각각 탈 동성애 인권운동 행사를 진행 중이다. 오후 1시부터는 대한문 앞에서 동성애퀴어축제 반대국민대회 준비위(반대 준비위)가 반대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이들은 동성애자가 아닌 퀴어문화축제 중 드러나는 일부 음란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선규 반대 준비위 전 대회장은 “오늘 집회는 동성애를 반대하고 퀴어문화축제를 반대하는 모임이지 동성애자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며 “동성애자는 우리가 품고 치유해야 할 형제, 자매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가족과 후손을 동성애로부터 지켜야 건강한 성 문화와 생명 윤리로 행복한 가족을 지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14일 오후 1시부터 대한문 앞에서 열린 동성애퀴어축제 반대국민대회의 한 참석자가 ‘탈동성애 진정한 건강한 사회’라고 쓰인 스티커를 붙인 의상을 입고 있다./서종갑기자14일 오후 1시부터 대한문 앞에서 열린 동성애퀴어축제 반대국민대회의 한 참석자가 ‘탈동성애 진정한 건강한 사회’라고 쓰인 스티커를 붙인 의상을 입고 있다./서종갑기자


최근 저출산 문제와 청소년 에이즈 문제를 언급하며 퀴어문화축제가 이를 부추긴다는 의견도 나왔다. 오정호 대전 새로남교회 목사는 “한국 인구가 감소하는 중이고 청소년 사이 에이즈가 점차 늘어나고 이 때문에 1,000억을 치료비로 쏟아붓고 있다”며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퀴어문화축제가 계속 열리면 오히려 동성애를 부추기는 것은 분명히 문제”라고 말했다.


청와대와 서울시가 국민 여론과 달리 일방적으로 퀴어문화축제 편을 든다고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용희 반대 준비위 공동대회장은 “14일 오후 2시를 기점으로 서울광장 퀴어문화축제 반대 국민 청원이 22만명을 돌파했다”며 “그럼에도 청와대는 이번 퀴어문화축제가 서울시의 심의 결과를 거쳐 문제가 없다고 얘기했다”고 청와대를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 67%는 퀴어문화축제의 음란성에 문제를 제기하는데 이를 일방적으로 묵살하는 청와대와 서울시는 분명 문제”라며 “이러려면 국민 청원제도를 대체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고 되물었다.

관련기사



실제 일각에선 퀴어문화축제 참가자의 노출이나 외설적 행위를 문제 삼기도 했다. 지난달 14일에는 퀴어문화축제 개최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등장한 바 있다. 청원자는 “동성애를 혐오하는 게 아니라 시민들의 공간인 광장에서 노출이 심한 옷차림이나 속옷 차림을 보는 게 불편하다”고 밝혔다. 해당 청원에 청와대는 “서울광장 사용은 청와대가 허가하거나 금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

14일 서울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한 한 참가자가 설문조사판에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서종갑기자14일 서울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한 한 참가자가 설문조사판에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서종갑기자


반면 이날 퀴어문화축제 참가자들은 반대 집회 측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주장했다. 퀴어문화축제에 2회째 참가 중이라는 한 여성 C(24)씨는 “성 소수자는 평소 성적 정체성을 숨겨야 하는 등 숨막히는 생활을 한다”며 “자신의 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출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로서 보호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4일 오전 서울퀴어문화축제 행사장 내 한 부스에 성인용품이 전시돼 있다. 일부 시민들은 부스 내 직원이 성인용품이라고 설명하자 “몰랐다”며 깜짝 놀라기도 했다./서종갑기자14일 오전 서울퀴어문화축제 행사장 내 한 부스에 성인용품이 전시돼 있다. 일부 시민들은 부스 내 직원이 성인용품이라고 설명하자 “몰랐다”며 깜짝 놀라기도 했다./서종갑기자


퀴어문화축제 찬반 집회를 살펴보기 위해 왔다는 일반 시민도 이 같은 의견에 동조했다. 김포에서 온 한 여성 H(32)씨는 “소수자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적으로 소외 받고 외면받았던 이들이 오늘 하루 만큼 자유롭게 축제를 즐기는데 이것까지 반대하는 것은 문제”라며 “반대 집회 측이 염려했던 음란한 의상이나 상품도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14일 오후 2시께 퀴어문화축제 반대 집회에 참석한 청년층이 ‘대한민국 청소년들을 에이즈로부터 지켜냅시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피켓을 들고 있다. /서종갑기자14일 오후 2시께 퀴어문화축제 반대 집회에 참석한 청년층이 ‘대한민국 청소년들을 에이즈로부터 지켜냅시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피켓을 들고 있다. /서종갑기자


이날 반대 집회에는 청년층도 상당수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반대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대구에서 왔다는 한 남성 이모(22) 씨는 “기독교 신자인데 평소 교회에서 배우던 가치관과 퀴어문화축제가 반대돼 이번에 목소리를 내려고 집회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들은 집회를 마친 오후 2시50분부터 약 2시간에 걸쳐 숭례문을 거쳐 서울광장까지 3.5km 거리를 가두행진 중이다. 이들은 행진하며 ‘동성애를 옹호 조장하는 박원순 서울시장은 물러나라’, ‘잘못된 성관념 전파하는 동성애 축제를 중단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아울러 이날 오후 2시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앞에서 집회를 친박 단체 회원들도 주한 미국대사관 앞까지 가두시위하며 맞불집회 행진에 동참할 예정이다. 주최 측은 “퀴어문화축제 참석자들을 향해 공격적인 발언이나 행동을 절대 하지 말아달라”며 “그들과 갈등이 벌어질 경우 여론이 불리해질 수 있다”고 반대집회 참석 인원에게 당부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