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박용만 "한국경제 성장페달 돌려야…파격 규제완화 절실"

[대한상의 제주포럼서 개회사]

성장-개혁 균형 잡힌 정책 당부

기업엔 의사결정서 인재육성까지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 변화 주문

박용만 상의 회장



“한국 경제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하향 추세에 있습니다. 폐쇄적인 규제 환경, 한계에 이른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력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습니다.”

박용만(사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8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통찰과 힐링-제43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개회사에서 날카로운 지적을 이어갔다. 구조적 문제에 대한 근본 처방 없이는 거시지표 경고음이 계속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회장은 경제·산업·기업 등 크게 3개 부문에서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박 회장은 경제 면에서 ‘균형감 있는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는 “한국 경제를 ‘자전거 타기’에 비유한다면 ‘개혁의 방향’이라는 핸들은 제대로 잡았다”면서도 “여기에 ‘성장’이라는 페달을 힘차게 돌려야 한국 경제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박 회장은 “성장 정책을 개발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늘리는 데 집중한다면 새롭게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투자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 차원에서는 ‘파격적인 규제 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 회장은 “우리가 폐쇄적인 규제 환경에서 오랫동안 지내다 보니 국제 기준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에 무덤덤해지고 위기감을 체감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온 것 같다”고 토로했다. 곳곳에 있는 ‘기득권의 벽’을 허물기 위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박 회장은 “정부가 국회와 협력해 ‘규제 총량 관리’ 같은 제도적 장치를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박 회장은 기업에는 ‘일하는 방식의 근본 변화’를 주문했다. 박 회장은 “지난달 발표된 기업문화 2차 진단에서 ‘청바지 입은 꼰대’라는 말을 듣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며 “넥타이를 풀고 청바지를 입는 외형적 변화보다 마음가짐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결정 구조부터 업무방식, 인재육성, 리더십 모델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바꿔야 혁신의 동력이 촉진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지난 1974년 ‘제1회 최고경영자대학’으로 시작된 ‘제주포럼’은 올해로 43회째를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열렸다. 박 회장을 비롯해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 이재하 대구상의 회장, 이강신 인천상의 회장 등 전국 상의 회장단과 기업인 700여명이 참석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제주를 찾은 기업인들에게 감사와 격려의 인사를 전했다. 세계적 디자이너 단 로세하르데는 개막 강연에서 상상력·사람·산업이 서로 연결되는 미래 도시 풍경을 보여줬다.

개막 이튿날부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19일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정부의 산업혁신 방향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같은 날 유시민 작가는 ‘미래 한국사회가 나가야 할 변화’를, 이정철 숭실대 교수는 ‘북한 올바로 이해하기’를 주제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오는 20~21일에는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타일러 라쉬 등이 연사로 나선다.

가족과 함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펼쳐진다. 19일에는 1980년대 가요계의 전성기를 이끈 가수 김범룡과 민해경의 ‘레전드 콘서트’가 열린다. 20일에는 소프라노 강혜정, 테너 정의근, 바리톤 김진추가 ‘서머 나이트 오페라 갈라 콘서트’를 연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