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韓 철강 수난시대…중국 “한국, 일본 등 철강 제품 반덤핑 조사”

경북 포항 한 철강회사 제품창고에 열연코일이 쌓여 있다./사진=연합뉴스경북 포항 한 철강회사 제품창고에 열연코일이 쌓여 있다./사진=연합뉴스



중국이 23일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인도네시아산 철강 압연과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제품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하기로 했다. 미국의 쿼터 적용, EU의 세이프가드에 이어 중국이 한국산 철강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나서면서 국내 철강업계로서는 판로 다변화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타이강 철강유한공사의 반덤핑 조사 신청에 따라 심사한 결과 2014∼2017년 관련국 제품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50%를 초과했다며 반덤핑 조사 사유를 설명했다. 상무부는 “심사 결과에 따라 2018년 7월 23일부터 EU, 일본, 한국, 인도네시아산 철강 압연과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한다”며 “설문, 샘플조사, 공청회, 현장실사 등의 방식을 통해 조사가 진행된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 중 포스코는 반덤핑 조사 대상이 됐다. 포스코는 대(對) 중국 철강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 수출 비중이 국내에서 가장 높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의 중국향 열련 스테인리스 제품은 대부분이 현지 투자법인 소재로 수출중”이라며 “해당 물량에 대한 반덤핑 예외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현지 이해관계자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국, EU에 이어 중국 역시 일부 철강 품목에 대한 보호무역조치 대열에 합류하면서 국내 기업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EU는 지난 19일 한국산 철강에 대해 세이프가드를 잠정 발효했고 캐나다 역시 지난 5월 한국과 중국, 베트남산 철강 제품을 상대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반덤핑 조사가 중국의 내수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전 품목으로 확산된다면 국내 기업의 피해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우리나라 철강 업계의 제1 수출 시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번 중국의 반덤핑 조사는 인도네시아산 철강 열연강판 등을 겨냥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전체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없다. 기업들과 중국 정부의 움직임을 면밀히 관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