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그리스 산불 사망자 74명으로 증가…"역대 최악 산불 참사"

해안으로 피신 도중 다수 희생…현재까지 74명 사망 확인

방화에 의한 화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 착수

산불 화마가 휩쓴 그리스 수도 아테네 인근 마티 부근 산등성이가 24일(현지시간) 산불로 황폐화한 모습. 23일 오후 아테네 북동부 해안도시 라피나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 24일 오후 현재 74명으로 늘어났다./연합뉴스산불 화마가 휩쓴 그리스 수도 아테네 인근 마티 부근 산등성이가 24일(현지시간) 산불로 황폐화한 모습. 23일 오후 아테네 북동부 해안도시 라피나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시간이 지날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 24일 오후 현재 74명으로 늘어났다./연합뉴스



그리스가 최악의 산불 피해에 망연자실하고 있다.

23일 오후 늦게(이하 현지시간) 수도 아테네 외곽의 서부와 북동부 해안 도시에서 잇따라 대형 산불이 번져 24일 오후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최소 74명, 부상자는 약 200명에 달하고 있다. 실종자 신고도 빗발치고 있어 인명 피해는 더 불어날 전망이다.


이 같은 피해는 지난 2007년 7∼8월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에비아 섬 일대를 휩쓴 산불 피해를 능가하며 수십년 만의 최악의 산불로 기록되게 됐다. 11년 전 산불로는 70명 가까이 숨진 바 있다. 이번 산불의 희생자는 아테네에서 북동쪽으로 40㎞가량 떨어진 해안도시 마티 일대에 집중됐다.

현지 관영 ANA통신에 따르면 24일 오전 마티 해안 인근에서만 심한 화상을 입은 사람들의 사체 26구가 바다에서 불과 15m 떨어진 지점에서 한꺼번에 발견돼 화재 당시의 급박했던 상황을 가늠하게 했다.

어린이가 다수 포함된 이들은 해변이 내려다보이는 낭떠러지 꼭대기 인근에서 발견돼 다른 탈출로를 찾다가 체념한 채 함께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가운데는 자녀로 보이는 아기를 안은 여성, 서로 꼭 껴안은 채 숨진 사람들이 포함돼 있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그리스 적십자사의 니코스 에코노모풀로스 대표는 “그들은 마지막이 다가오는 것을 느끼자 본능적으로 끌어안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사망자 시신은 대부분 마티를 중심으로 한 아테네 동부 라피나와 네아 마크리 사이에서 발견됐다고 그리스 당국은 설명했다. 이들 상당수는 불길을 미처 피하지 못해 자택이나 차량에 갇힌 채 생명의 불씨가 꺼졌다.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사체 6구는 인근 바다에서 수습됐다고 해안경비대는 밝혔다. 이들은 불길을 피해 바다로 뛰어들었다가 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하룻밤 사이의 불로 이처럼 희생자가 속출한 것은 산불이 시속 100㎞에 달하는 강풍을 타고 주택가 쪽으로 삽시간에 번졌기 때문이라고 당국은 보고 있다. 불길과 연기의 확산 속도가 워낙 빨라 집을 버리고 자동차로 탈출한 주민들 상당수가 속수무책으로 차량에 갇힌 채 목숨을 잃었다는 설명이다.

야니스 카파키스 시민보호청장은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에게 “시속 100㎞로 분 강풍으로 극단적인 상황이 초래됐다”고 보고했다. 대다수의 주민은 놀랄만한 속도로 불길이 번져 삽시간에 주변이 불타자 무작정 해안으로 피신했고, 일부는 등 뒤에까지 다가온 화염을 피해 앞뒤 안가리고 바다에 몸을 던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해안경비대와 어선 등이 해안에서 구조한 사람은 700명에 육박하고, 바다에서 건져 올린 사람도 19명에 달한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마티는 연금생활자,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 단위 휴양객에게 특히 인기가 있는 휴양지라, 노약자와 어린이들이 재빨리 불길을 피하기 어려웠던 것도 피해가 커진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그리스에 섭씨 40도가 넘는 고온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 것도 산불의 빠른 확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것으로 꼽힌다.

아직 화재 원인이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당국은 이날 아테네 외곽에서 여러 건의 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에 비춰 이번 산불이 방화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디미트리스 차나코풀로스 정부 대변인은 “아테네 근교의 서로 다른 세 지점에서 총 15건의 화재가 동시에 시작됐다”며 수상한 움직임을 적발하기 위해 미국에 드론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2007년 펠로폰네소스 반도 산불 당시에도 당국은 방화로 산불이 비롯됐다고 보고, 방화범 체포에 100만 유로의 현상금을 걸기도 했다.

한편, 이번 산불로 가옥 수백 채가 불에 타고, 차량도 수십 대가 전소하는 등 재산 피해도 상당할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