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제재에 이란 리알화 하루만에 13% 폭락

미 제재 복원 앞두고 이란 외환 시장 ‘패닉’

도널드 트럼프(왼쪽 사진) 미국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사진) 미국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AFP연합뉴스



미국의 제재 복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리알화 가치가 급락하고 있다.

이란 정부는 4월부터 달러당 4만2,000 리알을 공식 환율로 고수했지만, 29일(현지시간) 오후 기준 시장 거래 환율은 11만 리알까지 치솟으면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전날과 비교해 하루만에 무려 13.4%나 환율이 상승했다.

이란 리알화의 가치는 연일 사상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외화 대비 리알화의 시장 환율을 게시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리알화의 환율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란 핵합의 탈퇴를 선언한 5월 8일 이후 74% 상승했다.


올해 1월 초와 비교하면 달러화 대비 리알화의 환율은 158%나 올랐다. 올해 들어 리알화의 가치가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 셈이다. 이란의 외환 위기를 거의 보도하지 않았던 이란 국영방송도 29일 환율 급등 뉴스를 전할 만큼 이날 이란 외환 시장은 ‘공포’에 빠졌다.

관련기사



이란 정부는 미국의 제재에 맞설 만큼 외화가 충분하다면서 자국화 가치를 방어하려고 애쓰지만, 시중 여론은 이를 크게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다. 미국의 제재로 원유 수출이 줄어들면 ‘환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는 것이다.

이란중앙은행이 외화를 통제하려고 지난달 23일 소비재 물품 1,339개의 수입을 금지하고 수·출입 업자의 외화 거래를 1대 1 방식으로 직거래하는 제도를 도입했지만 외화 부족 현상을 막기엔 역부족이다.

다음달 6일 재개되는 미국의 제재에 EU가 동참하지는 않으나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미국의 단독 제재만으로도 이란이 입을 타격은 상당할 전망이다. 미국은 이란중앙은행의 달러 획득 행위를 제재한 뒤 11월부터는 이란의 생명줄이라고 할 수 있는 원유·천연가스 수출도 막는 사상 최강의 ‘고사 전략’을 예고했다.

2012년에도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출을 제재하면서 이란 경제가 급격히 악화한 바 있다. 이란은 제조업 기반이 부족해 생활필수품 완제품이나 중간재를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탓에 리알화 가치 하락은 물가 상승으로 직결된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