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지방세 잘못 부과…구제율 11.6%

지난해 1월부터 올 6월까지 556건 심의…65건 부과 취소 결정

경기도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도지방세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친 559건 가운데 65건(11.6%)이 지방세 부과 취소 결정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취소 결정이 내려진 65건의 부과액수는 모두 80억8,200만원에 달한다.

도지방세심의위원회는 과세전 적부심사 청구나 과세 후 이의신청 제기를 통해 구제를 신청한 지방세(도세) 부과 안건을 심의해 취소 여부를 판단한다.


현행 지방세 구제제도는 납세자가 지방세 과세처분을 받기 전 과세예고 등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과세전적부심사를 청구해 사전에 구제를 받을 수 있다. 또 지방세 과세처분을 받은 후 90일 이내에 도 및 시·군 지방세심의위원회에 이의신청을 제기하거나 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 감사원 심사청구, 행정소송 등을 통해 사후 구제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양계장을 운영하는 A씨는 농지를 사면서 자경농민을 사유로 취득세 500만원을 감면받았으나 해당 농지의 쌀 직불금을 전 소유자가 받는 바람에 500만원을 추징당해 심의위원회에 이의를 신청했고, 심의 과정에서 전 소유자가 쌀 직불금을 자진 반환하며 구제를 받았다.

또 법인의 주주인 B씨는 제2차 납세의무자로 지정돼 C법인의 체납액 중 6,000만원을 부과받았는데 심의 결과 지방세기본법 개정 전 규정이 적용된 사실이 확인돼 지방세 부과가 취소됐다. 도는 잘못된 지방세 부과를 줄이기 위해 오는 6∼10일까지 현장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