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세제 혜택 보완하고 기관 끌어 들여야"

■ 코스닥 살릴 전문가 제언

"대형주,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 않도록 유인책 마련을"




코스닥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당장 보완돼야 할 부분으로 전문가들은 세제 혜택과 기관 투자 확대 등을 지목했다. 정책에 실망했지만 해법도 정책지원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코스닥 대형주가 유가증권시장으로 옮겨가지 않아도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됐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투자할 만한 코스닥 기업이 많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론적인 지적이지만 좋은 기업을 코스닥에 묶어두는 것이 가장 좋은 정책이라는 것이다. 코스닥에서 덩치를 불린 기업들은 모두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 하는 수순을 예외 없이 밟아왔다. 오 센터장은 “기본적으로 코스닥에 대표성이 있는 기업이 없고 시장 자체의 자생력이 없다”며 “코스피로 옮겨도 될 만한 기업이 코스닥에 잔류했을 때 줄 수 있는 이익을 정교하게 고민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지금처럼 활성화 정책, 남북 경제협력 등의 특정 이벤트가 있을 때만 자금이 몰리는 시장에서 1년 내내 꾸준히 투자 수요가 몰리는 시장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나치게 단기적인 접근은 지양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최근 주가 하락은 경기 고점에 대한 우려, 일시적인 환경 악화 등에 따른 것으로 5년·10년을 바라봐야 하는 코스닥 활성화 정책을 평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이야기다. 다만 황 연구위원은 현재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에서 부족한 부분으로 세제 혜택을 꼽았다.

관련기사



그는 “전반적으로 주식시장과 파생시장을 연계하는 세제 처리 등이 굉장히 부족한 상황에서 양도소득세를 확대하는 추세”라며 “손익 통산범위, 양도손실 이월공제 등 적극적인 세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금융 선진국들처럼 올해 발생한 주식 시장에서의 이익과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손실을 통산할 수 있도록, 올해 발생할 손실과 내년 발생할 이익을 통산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황 연구위원은 “당장 시장이 떨어진다고 응급 처방에 나서기보다는 꾸준히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고도 덧붙였다.

기관 등 큰손을 유치해올 방책도 필수다. 정상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현재 기관투자가들은 대부분 코스피 관련 지수를 벤치마크 지수로 쓰고 있다”며 “코스닥·KRX300 등을 더 많이 활용하도록 해야 코스닥에서 기관의 수급이 늘어날 여지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돈이 도는 수급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단기적으로 매수에 나서거나 하는 방식은 역부족”이라며 “연기금 등 여러 기관이 코스닥 지수를 도입하면 자금이 들어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양준·서지혜기자 mryesandno@sedaily.com

유주희·서지혜·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