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유성엽 "재정 확대로 공공부문 비대화돼..먹고사는 것은 1등인 정당으로"

■ 민주평화당 당권주자 인터뷰

"靑 '협치 내각' 진정성 없어..개혁입법엔 협력"

유성엽 민주평화당 당 대표 후보유성엽 민주평화당 당 대표 후보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으로 인한 부작용 심화와 이에 따른 정부 여당의 정치적 난관에 대비해 ‘먹고사는 것은 1등인 민주평화당’으로 국민 마음속에 자리 잡겠습니다.”

민주평화당의 당 대표 후보 기호 2번인 유성엽(사진)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에 대한 부작용으로 어려워진 민생경제를 회복시키는 ‘경제정당’을 공언했다.

유 후보는 3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재정확대를 기조로 한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등 경제 상황이 심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재정확대 경제 노선이 과거 노태우, 김영삼 정권에서 IMF 경제위기를 초래한 원인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재정지출을 축소하면서 공공부문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규제 완화든 연구개발(R&D)을 통한 혁신이 가능하다고 봤다. 유 후보는 “경제정책 능력을 강화하고 ‘민생경제 해결사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당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겸해 국민의 경제생활에도 평화를 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유 후보는 후반기 국회의 최대 관심사항으로 떠오른 정부 여당과의 협치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청와대의 협치 내각 발언에는 구체성이 떨어진다”며 “정국돌파용으로 불쑥 작은 당에 장관직 1~2개를 던져주는 것은 진정성이 없다”고 꼬집었다. 다만 유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등과의 범진보 개혁입법연대에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정부 여당과의 협치와는 별도로 개혁입법 문제는 모든 국민의 열망이자 미래 대한민국을 위한 일이므로 초당적으로 협력하고 오히려 주도해나가겠다”고 했다. 다만 유 후보는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회복에 대해서는 “군소정당 의원들과의 연대에 연연하기보다는 당의 정체성 등 대안정당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통해 다시 태어나도록 당명 빼고 다 바꾸는 탈바꿈이 우선돼야 한다”고 다소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낮은 지지율과 6·13지방선거 패배로 인한 당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통한 국가 대개혁 △당원에게 정기 회계보고 및 주요정책 의견 수렴 등 투명한 당 운영 △국가 대개혁을 위한 개혁입법 결사체 추진 등 혁신안을 제시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