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600억달러 美 제품에 보복 관세"

5,207개 품목에 최대 25%

"美 행보 따라 추가대응 할수도"

협상 돌파구 찾기도 쉽지 않아

무역전쟁 점입가경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UPI·신화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UPI·신화연합뉴스



미국이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두 배 이상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자 중국도 600억달러(약 67조7,000억원)의 추가 관세 계획을 발표하며 맞불을 놓았다. 싱가포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두 나라의 외교 수장이 만나 관계 개선책을 모색했지만 무역 주도권을 둘러싼 신경전은 멈추지 않고 있다.

중국 관세세칙위원회와 상무부는 3일(현지시간) 600억달러에 달하는 5,207개 미국산 수입품에 5~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6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5%, 10%, 20%, 25% 등 네 가지 관세율이 적용되며 이 같은 차등 적용은 합리적인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또 중국 정부는 자국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상무부는 “앞으로 미국의 행보에 따라 관세 부과 시점이 결정될 것”이라며 “중국은 추가 대응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에 바탕을 둔 협상이야말로 무역 갈등 해소의 유효한 통로”라며 “일방적인 위협이나 협박은 갈등을 증폭시키고 이익을 해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인상할 방침이라고 밝힌 데 대한 보복 조치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난 1일 2,000억달러 규모의 6,031개 품목에 부과하려던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높일지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이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25%로 높이기로 결정하면 의견 청취 기간은 당초 이달 30일에서 오는 9월5일까지 연장된다.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관세 위협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미국이 7월 34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수입제품에 25% 추가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즉각 똑같은 규모로 미국 상품에 관세를 때렸다. 이후 미국은 추가로 16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 추가 관세를 경고했으며 중국도 160억달러의 맞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맞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이르면 수일 내 160억달러 규모의 중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 차례의 무역협상이 결렬된 뒤 두 나라가 협상 재개를 모색하고 있지만 당분간 극적인 타결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의 무역적자가 4개월 만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미 상무부는 이날 6월 무역적자가 전월 대비 7.3% 늘어난 463억5,000만달러(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