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창간기획-특별인터뷰]美 대북정책·제재안 입안에 핵심 역할...DJ정부때도 대북정책 조언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 재단 회장은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재단 회장은 28년간 미국 정부와 의회·유엔 등에서 동아시아 관계 업무를 다뤄온 워싱턴 정가의 대표적인 한반도 전문가다.

다섯 차례 방북해 평양과 개성 등을 찾았던 자누지 회장은 지난 2014년 맨스필드재단 회장으로 취임하기 전에는 국제앰네스티(AI) 미국 수석부회장을 지내며 북한과 미얀마·티베트 등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예일대 역사학과를 졸업한 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안보 및 국제관계로 석사학위를 받은 자누지 회장은 미 국무부 산하 정보기관인 INR에서 정치·군사 분야 애널리스트로 중국과 북한, 동남아 국가의 정보관리를 총괄하는 등 미 정부와 의회에서 동아시아 문제와 한반도 정책을 20년 가까이 다뤄왔다. 북한 인권문제뿐 아니라 중국 군사력 증강, 일본 외교정책 등에도 두루 정통한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부터 청와대를 방문해 대북정책을 조언하는 등 한국과도 오랫동안 인연을 맺어왔다. 2008년 버락 오바마 대선캠프에서는 한반도정책팀장을 지냈으며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의 상원 외교위원장 시절을 포함해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10년 넘게 정책국장으로 활동하며 대북정책 및 제재안 입안에 핵심적 역할을 했다.

관련기사



자누지 회장은 오바마 정부에서 대북 ‘전략적 인내’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북한의 핵능력만 고도화하자 “워싱턴이 대담하게 북한과 대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일찌감치 제안해 관심을 끈 바 있다. 그는 올 6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대북 실무대화를 이끌었던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재단 석좌연구원으로 영입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재단의 연구역량을 강화했다.

일본 게이오대에서 국제관계학 펠로십을 수료한 그는 “북한 비핵화 등 한반도 문제를 잘 풀려면 한미일 3국의 협력이 아주 중요한 만큼 한일이 더 친근하고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면 한다”며 “위안부·독도 문제 등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렵겠지만 여행·유학, 경제협력 등이 계속 활성화돼 양국의 적대감이 완화되고 협력의 장이 커지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워싱턴DC=손철특파원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