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ARF의장성명 "北 완전한 비핵화 공약 이행 촉구"…CVID 빠져

“판문점 선언·북미정상공동성명 환영”

정세변화 반영돼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가국 외교장관들과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가국 외교장관들과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싱가포르가 지난 4일(현지시간) 개최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회의 내용을 정리해 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의장성명에서 북한에게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약과 추가적인 핵·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는다는 맹세를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의장성명은 또 “ARF 외교장관들은 모든 관련된 당사자들이 판문점 선언과 북미 정상 공동성명의 완전하고 신속한 이행을 포함해 한반도의 지속적 평화와 안정의 실현을 향해 계속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또한 성명은 “장관들이 관련된 유엔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야기할 국제적 노력들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장관들은 4월27일과 5월 26일의 남북정상회담, 6월12일의 북미정상회담을 환영했다. 그들은 또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판문점선언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서명한 공동성명을 환영했다”고 덧붙였다. 성명은 아울러 “몇몇 장관들은 인권 관련 문제를 포함한 다른 미해결 현안들의 해결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음을 밝혔다”는 내용도 담았다.

관련기사



다만 이번 의장성명에는 작년 의장성명에 포함됐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라는 표현이 포함되지 않았다. 작년 의장성명에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도발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북한에 유엔 안보리 결의의 즉각적인 준수를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몇몇 장관들은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평화적으로 달성하는데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올해 ARF에서도 복수의 장관들이 CVID를 거론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CVID가 의장성명에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결국 CVID가 빠져 CVID라는 표현에 반대하는 북한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CVID를 대체한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구는 판문점선언과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명기된 표현이다.

ARF는 역내 정치·안보 문제를 논의할 목적으로 결성된 아세안의 확대외무장관회의(PMC)를 시작으로 1994년 출범했으며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안보협의체다. ARF에는 아세안 10개국과 남북한을 포함한 모든 6자회담 당사국 등 27개국이 참가한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