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병준 “정부, 탈원전도 은산분리처럼 입장 전환하길”

경주 한수원 찾아 경청회…탈원전 정책 재고 촉구

“지지세력 반대 거세도 국정 책임지는 입장서 생각”

탈원전 따른 한전 부담, 국민에게 갈 것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오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탈원전 정책 재고를 위한 국민경청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오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탈원전 정책 재고를 위한 국민경청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김병준(사진)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9일 “싼 발전 원료(원전)를 두고 국민에게 부담을 주는 행위가 옳은지 걱정”이라며 “정부가 은산분리 완화처럼 탈원전 정책에서도 전환적인 입장을 한 번 더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경주 화백컨벤션에서 열린 한국수력원자력 노조 경청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탈원전 정책 재고를 강조했다. 정부의 은산분리 완화 방침에 대한 ‘환영’으로 운을 뗀 김 위원장은 “입장 변화에 있어 지지세력의 반대가 거셌을 것”이라며 “지지세력과 여당이 어떤 입장이든 국정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탈원전 정책도) 전환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날 행사는 한국당 비대위에서 한수원 노조에 먼저 요청한 것으로 ‘탈원전·에너지 정책’과 관련한 대(對) 정부 견제 행보의 일환이다. 특히 경주는 한수원과 원자력 발전소·방사능폐기장 등 다수의 원전 관련 시설이 있어 정부 탈원전 정책에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이다.

김 위원장은 정부의 에너지 수급 계획에 대한 신뢰성을 문제 삼기도 했다. 수요예측이 ‘탈원전’ 논리로 왜곡됐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과학자가 아니라 정확히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수요예측이 정말 맞는지 의심이 갔다”며 “전기차·블록체인 등 4차 산업과 관련한 전력 수요가 늘어날 텐데 (수요예측은) 국정 지도자나 특정 집단의 논리에 의해 왜곡된 점이 있지 않은지 걱정”이라고 날을 세웠다. 정부의 성급한 탈원전이 결과적으로는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했다. 그는 “원자력 원료는 비교적 단가가 싸지만 석탄 같은 원료는 가격변동이 심하고 오름세도 만만치 않다”며 “유연탄으로 계산할 경우 한국전력의 추가 부담이 몇조 원 더 들어갈 수 있다고 하는데 그 부담이 누구에게 가겠느냐”고 반문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