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낙동강 등 상수원 7곳 '녹조라떼' 비상

기록적 폭염 탓 낙동강 6곳·금강 1곳 녹조 확산

8월 넷째주까지 낙동강 심해질 듯… 수돗물은 안전

9일 오후 경남 함안군 창녕함안보 닫힌 수문 주변으로 녹조와 기름띠가 관찰되고 있다./연합뉴스9일 오후 경남 함안군 창녕함안보 닫힌 수문 주변으로 녹조와 기름띠가 관찰되고 있다./연합뉴스



비 소식이 없는 가운데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전국 주요 상수원 28곳(친수활동구간 1곳 포함) 가운데 7곳에서 녹조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환경부는 일부 상수원에서 녹조(남조류)가 증가하면서 10일 기준으로 낙동강 강정고령·창녕함안·영천호·칠곡·운문호·안계호, 금강 대청호 등 7곳에서 조류경보가 발령 중이라고 밝혔다. 7곳 가운데 강정고령, 창녕함안(이상 경계), 영천호(관심)는 7월 말 또는 8월 초에 발령됐다. 칠곡, 운문호, 안계호, 대청호(이상 관심) 등 나머지 4곳은 8일 발령됐다.


정부가 1998년부터 수질 관리를 위해 28곳(한강 9곳·낙동강 12곳·금강 3곳·영산강 4곳)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조류경보제는 녹조 세포 수에 따라 ‘관심’, ‘경계’, ‘대발생’ 등 3단계로 나뉜다. 유해 남조류 세포 수를 2회 연속 측정해 두 번 모두 1㎖에 1,000 마리 이상이면 ‘관심’, 1만 마리 이상이면 ‘경계’, 100만 마리 이상이면 ‘대발생’이다.

녹조는 물 흐름 속도가 느리고 인과 질소 같은 물질이 많은 환경에서 강렬한 햇볕이 내리쫴 수온이 2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왕성하게 자라난다. 장마가 이례적으로 일찍 끝난 뒤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진 올여름에는 녹조가 증가할 조건을 두루 갖춘 셈이다.녹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배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 등 독성물질이 포함돼 있다.

6일 경기도 고양시 한강 하류에 녹조가 발생해 물고기 한 마리가 초록색 물감을 풀어 놓은 듯한 색깔의 강물 위에 죽어 있다./연합뉴스6일 경기도 고양시 한강 하류에 녹조가 발생해 물고기 한 마리가 초록색 물감을 풀어 놓은 듯한 색깔의 강물 위에 죽어 있다./연합뉴스


28곳 가운데 팔당호, 진양호, 한강친수활동구간은 유해 남조류 세포 수 측정에서 1회만 발령 기준을 초과했다. 이들 3곳과 조류경보가 발령된 7곳을 제외한 18곳은 폭염 기간임에도 녹조 수준이 양호하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상수원에 녹조가 번식하면 조류 독소와 맛·냄새 물질이 정수 처리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며 “조류경보가 발령된 곳에는 매주 1∼3회 수돗물 수질 검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부는 아직은 수돗물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조류경보를 발령한 7곳에서 총 117번 수돗물 수질을 검사한 결과 모든 정수장에서 물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4대강 16개 보(한강 3곳·낙동강 8곳·금강 3곳·영산강 2곳)의 대표지점의 녹조를 측정한 결과도 공개했다. 이들 지점은 먹는 물과 직결된 상수원에 속하지 않는다. 다만 환경부는 수질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녹조를 측정하고 있다. 측정 결과 낙동강은 구미보, 칠곡보를 제외한 6개 보에서 유해 남조류 수가 조류경보 ‘경계’ 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녕함안보는 6일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1㎖당 71만6,000 마리로 나타나 2013년 측정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흘 뒤 다시 검사했을 때는 이보다 28% 감소한 51만8,000 마리로 나타났다. 금강에서는 6일 백제보의 유해 남조류 수가 역대 최고치인 1㎖에 39만9,000 마리를 기록했다가 역시 사흘 뒤에는 13만2,000 마리로 줄었다. 영산강에서는 지난달 26일 1㎖에 약 26만 마리에 달했던 유해 남조류가 현재 3만8,000 마리 수준으로 감소했다.

한강에서는 유해 남조류가 일부 출현했지만 확산되지 않을 것으로 환경부는 전망했다. 환경부는 최소 8월 넷째 주(20∼26일)까지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녹조가 강한 강도로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8월 넷째 주 이전에 안동·임하·합천댐의 환경대응 용수를 방류해 낙동강 녹조 완화에 나설 계획이다. 환경부는 “폭염 기간 녹조 발생에 대응해 지자체,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낙동강은 상류 댐의 여유 용수를 활용해 녹조를 완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