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남북협력시대 경기북부 북한의 접경 도시와 연계된 '트윈시티'로 개발"

경의축, 한강하구-서해축, 경원축 등 3대 트윈시티 개발…경기북부를 한반도 경제권의 중심으로

북미정상회담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면서 남북 경제협력과 경기북부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트윈시티(twin city)를 모델로 경기북부를 3대 트윈시티 개발 전략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남북협력시대의 경기북부 발전전략 : 트윈시티로 개발해야’ 보고서를 발표했다.

트윈시티란 국경지대에서 짝을 이루며 마주한 두 도시를 지칭한다.


경기북부의 트윈시티 개발전략으로는 △경의축의 파주-개성을 ‘(가칭)하나의 경기 남북평화시’로 추진하여 한반도 경제권의 미래 중심지로 개발 △한강하구-서해축의 김포·강화-개풍·해주를 연안 물류 및 관광 거점으로 개발 △경원축의 연천·철원-철원·평강을 대륙물류와 휴양도시로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발전 축별 트윈시티 개발발전 축별 트윈시티 개발



이정훈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와 같이 남북이 당분간 서로 다른 체제를 유지하면서 평화와 교류를 진전시키게 된다면 미국-멕시코 트윈시티 발전 사례를 바탕으로 경기북부의 도시 간 거리, 지형, 교통로 등을 고려하여 3대 트윈시티 개발전략 구상을 구체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멕시코 국경의 트윈시티는 국경의 장벽이 유지되면서 사람의 출입은 통제하고 있지만, 두 도시 간에 국경을 넘는 경제협력은 활발해져 왔다.

미국 국경도시에서는 건설, 도·소매, 교통, FIRE(금융·보험·부동산), 개인 및 비즈니스서비스 등 고차 서비스의 고용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멕시코 국경도시에서는 기계·전기부품 조립공장 등 제조 기능이 발전하여 유기적인 분업관계를 형성했다.

또 미국 국경 주 인구의 연평균 증가율은 지난 2000∼2010년 사이 1.49%, 지난 2010∼2015년 사이 1.24%로 같은 기간 동안 전국의 연평균 인구 증가율 0.94%, 0.78%를 상회 했으며, 멕시코 국경 주의 연평균 인구증가율도 같은 기간 동안 각각 연 1.95%, 1.32%를 나타내 국가 전체의 1.52%, 1.25%를 웃돌았다. 이런 트윈시티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금 및 물가 격차, 산업 발전정도와 특성, 국경지대의 문화적 및 자연환경 특성, 국경지대의 정치 사회적 안정성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