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다이소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오히려 고객을 유입해 주변 상권을 활성화 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다이소 규제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신용카드 업체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이소가 출점한 후 주변 점포의 전체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국 다이소 직영점 4곳 인근 가게들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다이소 출점 후 1년간의 매출은 출점 전 1년간에 비해 문구점이 4.72%, 생활잡화점은 4.64%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다이소 점포 29곳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는 근처 문구·의류·화장품 등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 수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줄었다. 이에 대해 그는 상업지·아파트·주택가·지하철 등 위치별로 인근 가게들을 업종별로 분석한 결과 매출 감소 추세가 나타나지만 다이소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다이소 점포는 집객 효과를 통해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상품의 차별화로 주변 점포와 보완관계를 보인다”며 “골목상권에 고객을 유입하는 앵커 점포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문구업계는 다이소로 인해 매출 감소가 크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태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서울 및 광역시의 다이소 인근 문구점 210곳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경쟁 판매 채널별로 매출 하락에 미친 요인을 분석했더니 다이소가 41.6%, 대형 마트가 22% 등을 차지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이르면 이달 말 다이소를 중소기업적합업종에 올리는 안건을 의결한다. 이 경우 다이소는 일반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문구류를 낱개로 팔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문구점 매출 하락은 소비 트렌드 변화 등 여러 요인이 결합 돼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특정 업종 때문으로 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결국 소비자들만 또 피해를 보게 된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