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여름 '제철 과일' 가격 급등에…소비자들, '수입 과일' 찾는다

수박·복숭아 등 폭염으로 인해 수확량 줄어

안정적 수급으로 가격 변동 적은 수입과일 찾아

올 여름 폭염 등으로 일부 국산 과일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과일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올 여름 폭염 등으로 일부 국산 과일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과일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



올 여름 폭염 등으로 일부 국산 과일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과일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모바일 커머스 기업 티몬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19일까지 티몬에서 수입과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6% 급증한 반면 국산 과일 매출은 36% 오르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과일 매출에서 수입과일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지난해 14%에서 올해 23%까지 늘었다.

티몬 관계자는 “최근 티몬 슈퍼마트에서 신선식품을 강화하고 있어서 국산 과일과 수입과일 모두 지난해보다 매출이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은 수입과일이 월등히 앞섰다”고 밝혔다. 이 기간 수입과일 매출순위는 오렌지(매출 비중 32%), 체리(12%), 아보카도(10%), 망고(8%), 자몽(8%), 레몬(6%) 순으로 나타났다.


국산 과일 매출순위에서 1위는 겨울이 제철인 귤이 차지했다. 7월부터 하우스 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귤이 국산 과일 매출에서 36%를 차지했고, 저렴한 가격의 아오리사과가 출시된 영향으로 사과(매출 비중 15%)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복숭아(9%), 수박(8%), 참외(5%) 등은 여름 제철 과일임에도 소비자들이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급격한 제철 과일 소비 감소는 급격한 가격 인상이 원인으로 보인다. 수박은 본격적인 수확 철임에도 불구하고 폭염으로 인해 수확량이 급격히 줄어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복숭아와 거봉 같은 과일류도 비슷한 상황이다. 반면 수입 과일은 안정적인 수급이 이뤄진 만큼 가격 변동 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수박은 8월 20일 기준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올랐고, 참외와 복숭아는 각각 22%, 21% 올랐다. 반면 수입과일 가운데 오렌지 가격은 평년보다 10% 내렸고 망고와 바나나는 각각 8%, 3% 낮아졌다. 가격이 오른 체리(7%)와 레몬(7%)도 국산 과일에 비하면 인상폭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7∼8월에 수입과일을 가장 많이 구매한 성별과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30대 여성(매출 비중 33%)이 1위를 차지했고, 40대 여성(21%)과 20대 여성(14%) 순으로 나타났다. 티몬 관계자는 “물가 인상으로 인해 가격에 민감한 30대를 중심으로 수입과일 소비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