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0분 거리’ 체육시설…생활 SOC에 8조 투자

문화·체육시설 1.6조, 도시·노후산단 재생에 3.6조

정부가 문화·체육시설과 복지시설 확충, 노후산단 재생 등 국민 삶과 밀접한 기반시설, 이른바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내년에 대폭 늘린다.

정부는 27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생활 SOC 확충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기존의 공간·개발 중심의 대규모 SOC와 달리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체육시설·도서관 등을 생활 SOC으로 분류했다.


정부는 내년 생활 SOC에 올해(5조8,000억원)보다 약 50% 늘어난 8조7,0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정부 예산과 매칭하는 지방자치단체 투자까지 포함하면 생활 SOC 투자 규모는 약 12조원에 이른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문화·체육시설 등 편의시설과 관광 인프라 확충에 1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올해보다 6,000억원 늘었다. 도시재생·어촌뉴딜 등 생활여건 개선과 노후 산단 재생 등에는 올해보다 1조4,000억원 늘어난 3조6,000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복지시설 개선,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서는 올해보다 8,000억원 늘어난 3조4,000억원의 예산이 사용된다.

생활 SOC 투자를 통해 정부는 2022년까지 체육시설의 접근성을 13.8분(2017년 기준)에서 10분 이내로 개선할 방침이다. 전통시장의 90%에 주차장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알림 시설 설치율도 전통시장 점포의 5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도시바람길’ 숲은 17개 시·도별로 1개소씩 조성하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내년에는 지방 박물관에 어린이를 위한 전용 박물관 7개소를 설치하고 e스포츠 상설 경기장도 3개소 구축하기로 했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주택기금을 통한 도시재생 지원을 올해 대비 30% 이상 늘어난 1조5,000억원까지 확대하고 스마트 팜, 스마트축산 정보통신기술(ICT) 시범단지 등 스마트 영농도 지원한다. 장애인·노숙인·한부모 시설을 확충하고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돌봄센터도 200개소 더 만들기로 했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