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우리나라 문화재, 방사선 기술로 지킨다

원자력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와 문화재 보존 기술개발 MOA 체결

일찍이 미국, 프랑스, 독일 등 해외 원자력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문화재 분석, 보존을 위한 방사선 기술 연구와 활용이 폭넓게 이뤄져 온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출연연과 학회가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해 주목받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와 방사선을 이용한 문화재 분석과 보존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협력협약(MOA)을 28일 원자력연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INTEC)에서 체결한다.

양 기관은 ▦방사선 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화재 진단 및 보존 처리 기술 활용 확대 ▦공동 연구 및 학술 발표 ▦양 기관의 연구 장비 및 시설 공동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원자력연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본원, 대전)연구용 원자로 HANARO와 뫼스바우어 분광기 ▦(분원, 정읍)첨단방사선연구소 감마선조사시설 및 전자선실증연구시설 ▦(분원, 경주)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이온빔가속기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방사선 기술로 문화재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벌레나 곰팡이 등 가해 생물을 방제하며 손상된 문화재를 복원하는 기술을 종합적으로 연구·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원자력연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연구용 원자로 TRIGA Mark-Ⅱ 도입 이후 중성자방사화분석을 통한 미량원소 정량 분석법을 고대 토기의 산지 분류에 응용, 고고학 연구에 기여한 바 있고 1995년 HANARO 가동 이후 중성자 방사화 분석 기술, 중성자 영상 기술, 방사선 조사 기술 등의 관련 기술을 문화재 보존, 복원 및 감정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꾸준히 수행해 왔다.

이어 올해 5월 국립공주대와 7월 국민대와 원자력 기술을 이용한 문화재 보존, 분석을 위한 MOA를 체결하는 등 관련 연구의 활용을 확대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

하재주 원자력연구원장은 “문화재 보존 연구는 원자력연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사회현안 해결과 기초과학 연구의 실용화를 위한 노력중 하나”라며 “연구용원자로 HANARO를 비롯해 정읍, 경주에 위치한 분원의 연구장비를 복합 활용하고 연계성을 강화해 문화재 보존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