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경화 “9월 남북정상회담, 美동의사항 아냐”

“판문점선언 후속조치…美 이해할것

북미관계 도움 되도록 회담 준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9월로 예정된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미국의 동의사항이라기보다는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인 만큼 미국도 충분히 이해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2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9월 남북회담에 미국도 동의했느냐’는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의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강 장관은 “비핵화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우리 부담도 크다”며 “북미 관계의 진전이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보면 한국 대통령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강 장관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이 취소된 상황에서 남북회담을 추진하는 게 북미 관계에 도움이 되느냐”는 성 의원의 물음엔 “도움이 되도록 준비를 하겠다. (평양에) 가야 한다”고 대답했다. 같은 질문에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오히려 더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목표로 하는 비핵화를 위해 남북정상회담이 할 역할이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강 장관은 이어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최근 통화를 했다. 방북 취소 직후여서 그 사안에 대해 주로 얘기했지만 다른 사안과 관련해서도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그는 “비핵화 진전이 없는 부분과 중국의 협조가 없는 부분들에 대한 (폼페이오 장관의) 제반 설명이 있었다”며 “인식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북미, 남북 관계를 위해서도 한미 간 공조가 중요하다고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 취소와 관련해 “물론 심각하게 보고 있고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은 데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며 “미국으로선 비핵화가 핵심주제인데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