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장쑤성도 한국 단체관광 허용··“내달 중순 본격 입국 예상”

베이징·상하이 등 이어 여섯번째

‘롯데 보이콧’ 계속

전세기·크루즈선·온라인 마케팅 금지도 여전

지난 24일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앞에서 중국인들과 외국인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지난 24일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앞에서 중국인들과 외국인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장쑤성 지역 여행사에도 한국 단체여행 모객을 추가로 허용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월 본격화한 ‘사드 보복’ 이후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된 지역은 베이징시, 산둥성, 후베이성, 충칭시, 상하이시 등 6개 성·직할시로 늘어났다.

29일 중국 여행업계에 따르면 장쑤성 난징시 여유(관광)국은 이날 관내 여행사를 소집해 한국 단체 여행 재개 방침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향후 난징시, 쑤저우시, 우시시의 여행사들은 한국 단체 관광객을 모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모객을 위해 신문, 인터넷 광고 등을 이용할 수 없고 영업점을 통한 오프라인 마케팅만 할 수 있다.

앞서 한국행 단체관광이 허용된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롯데호텔, 롯데백화점 등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 계열의 회사를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단서도 붙었다. 한중 전세기 취항과 크루즈선 한국 항구 정박 금지도 전과 같이 적용된다.


한국 단체 관광객 규모도 일정 규모를 넘을 수 없도록 통보됐다. 난징시의 경우 2016년 통계를 바탕으로 성수기인 9∼10월에는 2만명까지, 비수기인 11∼12월까지는 1만명 이내의 한국 단체 관광객 허용 규모가 정해졌다.



상하이시, 저장성, 장쑤성 등을 포함한 화둥 지역은 기존에 한국 단체관광 송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상하이시와 장쑤성의 한국 단체 관광 재개 방침에 따라 일부 여행사들은 이미 경쟁적으로 한국행 비행기 좌석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내달 중순께부터는 화둥 지역 중국 단체 관광객들의 한국행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