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화학연, 의약품 원료 저렴·간편하게 제조 합성공정 개발

피리딘, 퀴놀린 등의 알킬화 반응 핵심원천 기술 확보

한국화학연구원은 한수봉 박사 연구팀이 항암제, 항생제 등 의약품의 중요한 원료인 피리딘, 퀴놀린계 화합물을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합성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합성 기술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화학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안게반테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온라인판 9월호에 게재됐다.


항암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등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성분인 다양한 피리딘, 퀴놀린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분자 내에 있는 탄소와 수소의 결합을 끊어내는 알킬화 반응을 이용하면 다양한 의약품에 쓰이는 화합물을 간단하고 쉽게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피리딘과 퀴놀린의 알킬화 반응은 화학 반응성이 낮으며 여러 단계를 거쳐야해 반응 공정이 복잡했다. 팔라듐, 로듐 등 값비싼 전이금속을 활용하는 반응 또한 금속을 제거해야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여 대량 생산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쉽게 구할 수 있는 ‘비티그(Wittig)’ 시약을 활용해서 피리딘과 퀴놀린을 알킬화시킬 수 있는 간편한 반응 공정을 개발했다.

관련기사



비티그 시약은 노벨화학상 수상자 비티그 교수가 1952년 개발한 시약으로 화합물 제조에 널리 쓰이는 시약 중 하나다. 그동안 올레핀 등의 석유화학 원료나 의약품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연구팀은 이를 피리딘 또는 퀴놀린계 화합물 제조에 사용했다.

연구팀은 피리딘 또는 퀴놀린에 산소 등을 투입하고 비티그 시약을 넣은 후 온도, 농도 등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최적화된 반응 공정을 개발했다. 피리딘 또는 퀴놀린에 포함돼있는 산소(O)와 비티그 시약에 포함되어있는 인(P)이 서로 잘 반응해서 두 물질이 자연스럽게 만나고, 이를 통해 피리딘 또는 퀴놀린에 붙어 있는 수소(H)가 떨어져나가고 탄소(C)로 바뀌는 원리다.

연구책임자인 화학연 한수봉 박사는 “향후 의약품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화합물인 ‘피리딘과 퀴놀린의 알킬화 화합물’을 간편하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