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토부, 김해신공항 원안 강행…김해시 "원점서 재검토해야"

김해시 "국토부, 수차례 걸쳐 대안 검토 요청 묵살한채 원안 추진…실질적인 대책 없인 원안 강력하게 반대할 것"

6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가 진행됐다. 국토부는 새 활주로를 기존 안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연합뉴스6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가 진행됐다. 국토부는 새 활주로를 기존 안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김해공항 확장(김해신공항) 때 소음 등이 우려되는 새 활주로를 기존 안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김해시와 의회, 시민단체 등이 강하게 반발하며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

6일 국외 출장 중인 허성곤 시장을 대신해 박유동 김해시 부시장은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신공항 기본계획용역 중간 보고회에서 확인된 새 활주로 방향은 당초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서 제안한 계획과 동일한 것”이라며 “김해시민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대단히 실망스럽고 위험한 결과”라고 밝혔다.

국토부가 그대로 추진할 새 활주로는 기존 활주로에서 북서쪽으로 김해 임호산과 내외동 중심 시가지를 향하는 ‘브이(V)자’형으로 소음과 안전문제로 김해지역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해왔다.


박 부시장은 “우리 시는 수차례에 걸쳐 대안으로 남쪽 11자 형(3∼4Km 후방) 및 동쪽 V자 활주로 검토를 요청했다”며 “국토부가 이런 간절한 뜻을 무시한 채 소음·안전폭탄이 될 수 있는 신활주로 추진을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해시민들은 현재 공항 소음만으로도 수십 년간 충분히 고통받고 있는데 새 활주로를 추진하면 현재보다 소음피해는 6배 확대될 것”이라며 “2002년 4월 15일 중국 민항기가 공항에서 4.6km 떨어진 돗대산에 충돌, 120명이 사망한 대형 사고를 잊지 못한다. 시 최대 인구 밀집지역이 위험에 빠질 수 있는 건설안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재차 주장했다.

관련기사



박 부시장은 이어 “국토부는 소음피해 대안으로 이륙 시 15도 좌선회 비행절차를 제시했다가, 주촌 선천지구 등 대규모 신설아파트 단지가 저촉된다는 지적과 관련해 22도 좌선회 비행절차를 제시했다”며 “그러나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장유내덕지구 도시개발구역 및 장유시가지로 피해 지역만 이동할 뿐이다” 라고 강조했다. 또 남풍 때 항공기 착륙절차는 여전히 내외동 방향으로, 저공비행에 따른 소음·안전문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김해시는 시민의 요구를 외면한 채 실질적인 소음·안전대책 없이 김해 신공항건설을 계속 추진한다면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강력하게 반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토론회 및 간담회 때 약속한 대로 정부에서 일방적인 신공항 사업을 추진하는 일이 없도록,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정부, 국회, 시의회, 학계, 전문가,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간담회, 토론회를 개최해 시가 제안한 대안이 받아들여지게끔 하겠다는 것이다.

시의회도 이날 국토부 입장을 규탄하는 결의문을 조만간 채택하기로 하고, 시민단체 역시 김해시 및 김해시의회와 함께 강력한 투쟁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