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국내 메르스 위기경보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

접촉환자수 21명…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

보건당국 “확진 환자 입국 후 동선 파악 중”

3년 만에 국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환자수가 20여명으로 확인됨에 따라 국내 메르스 위기경보 수준이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됐다.

질병관리본부는 9일 메르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 단계로 높이고 본부 내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위기경보는 관심(해외 메르스 발생), 주의(해외 메르스 국내 유입), 경계(메르스 국내 제한적 전파), 심각(메르스 지역사회 또는 전국적 확산) 순으로 격상된다.

쿠웨이트를 방문한 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A씨(61세) 밀접하게 접촉한 것으로 파악돼 자택에 격리된 사람은 지난밤 사이에 1명 늘어나 현재까지 21명이다.


확진자의 입국 이후의 이동 경로와 접촉자 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파악된 밀접접촉자는 항공기 승무원 3명, 탑승객(확진자 좌석 앞뒤 3열) 10명, 삼성서울병원 의료진 4명, 가족 1명, 검역관 1명, 출입국심사관 1명, 리무진 택시 기사 1명 등 총 21명이다. 전날 발표된 밀접접촉자에 택시기사가 새로 포함됐다.

관련기사



환자가 삼성서울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동할 때는 서울시 강남구보건소의 음압격리구급차(운전기사 개인보호구 착용)를 이용했고, 서울대병원 의료진은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진료해 보건소와 서울대병원 관련자들은 밀접접촉자에서 제외됐다.

밀접접촉자 21명은 현재 자택격리 중으로 해당 지역 보건소에서 증상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최대 잠복기인 14일 동안 집중관리를 받는다.

확진 환자와 항공기에 동승한 승객 등을 비롯한 일상접촉자 440명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명단을 통보해 수동감시 중이다. 수동감시는 잠복기인 14일동안 관할보건소가 5회 유선·문자로 연락하고, 의심증상 발현 시 보건소로 연락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당국이 확진자의 공항 이동 경로 등을 CCTV로 분석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접촉자 규모는 추후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