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金 친서에 2차 북미회담 유인책 담긴 듯...실행력 담보엔 의문

북미관계 개선위해 또 승부수

김정은 비핵화 시간표 제시에

트럼프 "아주 멋지다" 기대감

시진핑, 친서 "대화 지지"

핵신고·사찰 빠지면 협상 난항

정의용, 오늘 볼턴과 추가 통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 내용에 북미 정상회담 개최 등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파격적 제안이 담겼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차 정상회담을 위한 유인책이 담겼을 가능성이 있다. 지난 6월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백악관을 방문해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한 후 취소됐던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재개된 것처럼 이번 친서에도 트럼프 대통령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김 위원장의 승부수가 담겼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핵 리스트 신고, 사찰 등 비핵화 논의의 디테일을 놓고 북미 간 입장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친서 외교가 정치적 이벤트를 넘어 실질적 조치로까지 이어질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도 비등하다. 결국 ‘디테일의 악마’를 해결하지 못하면 추가 협상이 난항을 겪게 되고 실행력을 담보할 수도 없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9일 외신 등에 따르면 이번 친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단을 통해서가 아니라 판문점 군사경계선 외교 라인을 통해 미국 측에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친서는 인도 방문을 마치고 워싱턴으로 복귀하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게 먼저 전달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김 위원장이 내게 보낸 개인적 편지가 오고 있다. 친서는 어제 국경에서 넘겨받았다. 긍정적인 편지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 전달 시기를 생중계한 것을 보면 내용은 어느 정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2021년 1월) 내에 비핵화를 실현하고 싶다는 비핵화 시간표를 제시한 것과 관련해서도 “아주 멋지다(very nice)”며 환영했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내부 고발 등으로 입지가 흔들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한반도 비핵화 논의 재개가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날 중국CCTV에 따르면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은 평양에서 김 위원장에게 시 주석의 친서를 전달했다. 시 주석은 친서에서 “북중관계를 잘 유지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방침”이라면서 “올해 들어 김정은 위원장과 세 차례 회담을 통해 북중관계 발전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이어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견지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우리 정부도 중국·일본 등과 다자외교를 가동하며 북미 대화 재개의 터를 닦고 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8일 양제츠 중국 중앙정치국원을 면담한 후 “중국 측은 남북 정상회담과 한미 정상회담이 한반도 문제의 획기적 해결을 위한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고 방중 결과를 전했다. 이와 더불어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일본을 방문해 10일 아베 신조 총리를 예방하고 대북특사단의 방북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다.

정 실장은 또한 10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추가 통화하며 비핵화 이슈를 논의한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도 10일부터 한국·중국·일본을 순방하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조율할 예정이다. 다만 정상 간의 친서 외교가 외교적 수사 이상을 담아내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핵화의 핵심인 북한 핵 리스트 신고 문제는 여전히 논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협상의 돌파구가 될 정도의 내용이 담겼다면 폼페이오나 볼턴의 입에서 긍정적인 메시지가 나와야 하는데 지금 유일하게 나오는 창구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뿐”이라며 “아직 세부 내용에서 진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홍우·박우인기자 seoulbird@sedaily.com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