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그룹, 5년간 3만6,000명 채용 등 23조원 투자한다

대졸직 6,000명 고용...4차산업아카데미 개설로 취업지원

AI 등 중소기업 개발 지원.. 해외판로 개척 등도 적극 나서

KT그룹이 4차산업혁명 인프라 구축 등 앞으로 5년간 23조원을 투자하는 혁신성장계획을 내놓았다./사진제공=KTKT그룹이 4차산업혁명 인프라 구축 등 앞으로 5년간 23조원을 투자하는 혁신성장계획을 내놓았다./사진제공=KT



KT(030200)그룹이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앞으로 5년간 23조원을 투자하고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선다.

KT그룹은 10일 4차 산업혁명 인프라 구축, 혁신성장 고용지원 프로그램 마련, 중소기업과 상생, 대졸직 6,000명 채용 등의 내용을 담은 혁신성장계획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4차산업 ICT분야에 3조9,000억원, 5G 등 네트워크 분야에 9조6,000억원, IT고도화와 그룹사 성장을 위해 9조5,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또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고속도로의 기반인 클라우드 분야에도 5,000억원을 투자한다


KT그룹은 향후 5년간 대졸직 6,000명을 포함해 총 3만6,000명의 정규직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5G에 대한 투자 등으로 10만명가량의 간접고용 유발이 예상돼 총 일자리 창출 효과는 14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실업을 해소할 무상교육도 실시한다. 맞춤형 무상교육 시스템인 ‘4차산업아카데미’, ‘5G아카데미’ 등 교육과정을 신설해 4차산업혁명 전문가를 키운다. 연간 400명씩 5년간 2,0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4차산업아카데미는 현재 KT가 운영 중인 ‘AI아카데미’ 모델을 확대한 것이다. AI, 소프트웨어,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에 대한 이론과 실무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또 5G아카데미는 5G 등 통신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역할을 맡는다. KT그룹은 AI아카데미 운영을 통해 27명을 훈련시켰고 이 가운데 10명이 취업에 성공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AI아카데미를 4차산업아카데미와 5G아카데미로 확대하고, 교육인원도 연간 400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교육 수료생에 대해 취업과정 전반을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KT그룹은 또 5G 분야와 혁신성장 분야에서 중소기업과 상생협력도 강화한다. 중소기업에 서비스 개발 인프라를 무상으로 제공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등 사업개발을 지원하고 국내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글로벌시장에 공동 진출하는 등 신성장동력도 확보할 계획이다. KT는 앞으로 5G망 구축, 장비 공급 및 서비스 개발에 중소기업이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중소기업 참여가 가능한 규모는 약 2조원대로 추산되는데 이미 협의체를 구성해 중계기 등 장비를 개발 중이다. 중소기업에는 연구개발시설도 제공한다. KT는 최근 중소기업들이 5G 관련 서비스를 실험할 수 있는 ‘5G 오픈랩(Open Lab)’을 서울 서초구 연구개발센터(R&D센터)에 개소한 바 있다. 이곳에서는 현재 100여개 중소기업과 함께 차세대미디어, IoT, 자율주행 등 5G 기반의 신규 서비스를 공동 개발 중이다. 이와 함께 공동 연구개발(R&D)에 100억원, 경영 안정화를 위해 5년간 5,0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펀드도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중소기업의 경우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투자여력이 낮고 해외판로 개척이 어려워 수출을 포기하는 경우가 흔하다. KT그룹은 앞으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KT그룹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함께 진출해 판로를 개척하는 데 적극 나설 방침이다. KT는 실제 IPTV 셋톱박스 공급사인 가온미디어와 협업을 통해 UHD 셋톱박스와 AI 셋톱박스(기가지니)를 공동 개발했고 이를 해외 24개국에 수출한 바 있다. 가온미디어는 이를 바탕으로 현재 세계 5위 수준의 셋톱박스 제조사로 발돋움했다.

황창규 KT그룹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KT그룹뿐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에 놓칠 수 없는 기회”라며, “KT그룹은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물론 인프라 혁신과 ICT 융합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