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시 상업지역 신축 고층주상복합 높이 낮춘다

도시회복 위한 개선방안 토론회서

주거·비주거 용적률 차등적용 제시

광주광역시가 상업지역에 짓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용적률을 조정하기로 했다. 앞으로 상업지역 본래 취지에 맞게 주거시설 비중을 줄이고 주거시설을 짓더라도 그 높이를 낮추겠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11일 시청에서 도시계획·학계 전문가, 건설업계 관계자 등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시 도시 회복을 위한 상업지역 고층아파트 개선방안 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최근 상업지역 내 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대규모로 들어서며 발생하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상가 등이 들어서야 할 상업지역에 초고층 아파트·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이 들어서면서 일조권 침해, 교육시설 부족, 교통난 등 도시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건물은 평균 13.6층으로 대부분 15층 규모였지만 2016년 이후 평균 33층, 최대 48층까지 고층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광주시 도시계획 재정비 용역에 참여하고 있는 정성구 도시문화집단CS 대표는 이날 용적률 산정 시 비주거(상업기능) 용도에서 ‘주택법’에 따른 ‘오피스텔 등 준주택’ 제외, 주거용도 준주거지역 용적률(400%) 적용, 비주거 용도 상업지역 용적률 차등적용, 비주거 의무 확보 면적 10%에서 30%로 상향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광주시는 광주만의 차별화된 주거문화 창출을 위해 ‘광주다운 아파트 공급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건축·도시계획 분야 전문가와 건축사협회 등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공동주택 디자인·안전 향상 모델’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을 공동으로 마련해 대규모 주택단지 등에 적용하기 위한 조례, 공동주택 심의규칙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다.

김남균 광주시 도시계획과장은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토대로 조만간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해 늦어도 내년 1월부터는 상업지역 고층아파트 개선 방안을 추진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