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김남구 한투 부회장 "금융투자업, 한국 먹여살릴 산업될 것"

고려대 채용설명회 참석

금융투자업 가능성 강조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이 11일 고려대에서 열린 채용설명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투자증권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이 11일 고려대에서 열린 채용설명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투자증권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은 앞으로 금융투자업이 인구 고령화 등의 문제에 직면한 한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부회장은 11일 오후 고려대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와 함께하는 한국투자증권 채용설명회’에 참석해 금융투자업과 회사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반도체, 철강, 자동차, 화학 등의 제조업이 먹여 살려 왔으며 그 결과 전 세계 최강의 제조업을 가진 나라로 성장했다”며 “그러나 제조업은 인구 고령화 등의 문제와 맞닥뜨리고 있어 앞으로는 금융투자업이 한국의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나라의 가계금융자산은 약 4,000조원에 달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1,600조원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며 “가계금융자산에서 1% 수익을 올린다면 40조원이 돼 GDP의 40% 수준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만큼 금융투자업의 잠재력은 무시 못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설명회에서 김 부회장은 올 상반기 자신보다 9억원 더 많은 22억원의 보수를 받아 화제가 된 김연추 투자공학부 팀장의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얼마나 회사에 기여했길래 그렇게 받아갈 수 있었는지 (그 차장급 직원에게) 정말 고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솔직히 제가 임원급 연봉은 얼마 정도인지 알지만 직원들의 연봉까지는 잘 모른다”며 “우리 회사는 그런 시스템이 만들어져 최고 성과를 올리면 최고의 대우를 해주는 회사”라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한투증권이 대형 증권사로 성장한 비결과 관련해서 “증권사는 사람이 움직인다는 생각에 사람을 키우는 데 주력했다”며 “금융투자업은 한 사람의 생산성이 매우 커 어떤 사람이 일하느냐에 따라 손실이 나기도 하고 수백%의 수익이 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2003년 이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 채용설명회에 직접 참석하고 있다. 이날 채용설명회에는 200여명의 대학생이 참석해 설명회가 열린 강의실을 가득 메웠다. 한투증권은 올해 하반기에 100여명의 신입사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