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융위기 후 들어온 외자만 200조..변동성 확대 땐 유출 위험 커 주의"

금감원 '외환부문 구조변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1,772억달러(약 2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유출 위험이 있는 자금으로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11일 이같이 밝히며 다만 우리나라는 순채권 지위에 있고 단기 외화차입이 줄어드는 반면 은행의 해외 외화대출은 늘어나 건전성이 개선돼 당장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변화는 2014년 대외 순채권국으로 전환됐다는 점이다. 쉽게 말해 한국이 외국에 갚을 돈보다 받을 돈이 더 많다는 뜻이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은 1조4,537억달러로 대외금융부채인 1조2,054억달러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자산운용사나 보험사 등 금융사의 해외증권투자 잔액이 2008년 말 540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2,414억달러로 4배 이상 증가한 영향이 크다. 정부가 해외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에 대해 세제혜택을 2016년부터 2년 동안 주고 보험사 외화자산 환 헤지 관련 규제를 지난해 6월 바꿔 시행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여파로 대외금융자산 중 해외증권 투자비중은 2008년 말 22%에서 지난해 말 40%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전반적인 건전성 개선은 국내 금융시장으로 외자 유입을 촉진하는 배경이 됐다.


금융위기 이후(2009~2017년) 유입된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1,772억달러에 달한다. 주식시장으로 894억달러, 채권시장으로 878억달러가 유입됐다. 덕분에 우리나라 대외금융부채 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비중은 2008년 말 42%에서 지난해 말 64%로 올라갔다. 외국인의 금융시장 투자는 같은 기간 경상수지 흑자(5,811억달러)와 함께 국내에 외화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국내 은행이나 외국계 은행 한국지점의 외화조달이나 운용구조도 크게 개선됐다. 이는 부채의 질이 좋아졌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국내 은행의 외화예수금은 2008년 말 404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257억달러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은행의 외화조달 중 외화예수금 비중이 19%에서 41%로 올라갔다. 반면 국내 은행의 단기 외화차입은 2008년 말 719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302억달러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외은 지점의 단기 해외 본점 차입금 역시 2008년 말 411억달러에서 지난해 말 166억달러로 대폭 감소했다.

외화운용 부문을 보면 국내 은행의 내국인(거주자) 대상 외화대출이 줄고 외국인(비거주자) 대상 외화대출은 증가했다. 거주자 외화대출은 2008년 말 546억달러에서 2017년 말 197억달러로 3분의1 수준으로 줄었고 비거주자 외화대출은 같은 기간 403억달러에서 922억달러로 늘었다. 비거주자 외화대출이 늘어난 것은 국내 은행의 해외 점포 외화대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임채율 금감원 외환감독국장은 “2014년 대외순채권국 전환 등 금융위기 이후 대외 건전성은 대폭 개선됐다”면서 “다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 확대는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시 유출 위험이 커진다는 의미이므로 관련한 위험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