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20년 아프리카 앙숙’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사우디서 평화협정 서명

16일 아페웨르키 에리트레아 대통령(왼쪽)과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오른쪽)가 평화협정에 서명한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가운데는 이번 협정을 주선한 살만 사우디 국왕. /연합뉴스16일 아페웨르키 에리트레아 대통령(왼쪽)과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오른쪽)가 평화협정에 서명한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가운데는 이번 협정을 주선한 살만 사우디 국왕. /연합뉴스



20년 동안 국경 지역의 영유권을 두고 무력 충돌한 아프리카 북동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가 16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평화협정에 서명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아비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와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에리트레아 대통령은 살만 사우디 국왕이 주선한 ‘제다 평화협정’ 서명식에서 협정문에 서명했다. 이로써 ‘아프리카의 뿔’로 불리는 아프리카 동북부의 앙숙이었던 두 나라가 1998년 시작한 무력 분쟁이 공식적으로 종식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무함마드 빈사만 사우디 왕세자, 셰이크 압둘라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외무장관도 서명식에 동석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오늘 평화협정은 역사적인 일”이라며 “‘아프리카의 뿔’에 희망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평화협정 서명은 지난 7월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가 에리트레아를 방문해 양국 간 종전을 선언하고 외교관계를 정상화한 데 이은 것이다. 사우디와 UAE는 2015년 예멘 내전 참전을 위해 에리트레아에 군사 기지를 주둔하면서 관계가 가까워졌고,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 삼기 위해 지리적으로 가까운 에티오피아와도 우호가 두텁다. 이런 외교적 관계를 고리로 사우디와 UAE가 이들 두 나라의 평화협정을 중재했다.

관련기사



여기에 42세의 젊은 지도자인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가 올해 4월 취임한 뒤 에리트레아와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양국이 해빙기를 맞았다. 에리트레아는 1952년 에티오피아에 합병된 뒤 30년에 걸친 투쟁 끝에 1993년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1998년 국경도시 바드메를 둘러싼 전쟁으로 양국에서 7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2000년 휴전했지만 국지전은 계속됐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