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테스트한다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원들이 자율주행차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원들이 자율주행차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경차에 딥러닝 기반을 한 자율주행 장치를 달고 운행테스트를 실시한다. 경차가 차량 공유서비스에 많이 이용되는 만큼 자율주행차의 활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연구팀과 손잡고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경차는 차량 내 공간이 좁아 그 동안 자율주행차 연구에 활용되지 못 했다. 하지만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은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과 내장형 차량 센서 등을 경차에 탑재할 수 있도록 소형화·경량화해 자율주행차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


이번에 탑재한 장비는 엔비디아 사의 컴퓨팅 플랫폼 ‘드라이브 PX-2’와 자체 개발한 딥러닝 조향 제어 장치다. 기존 자율주행차는 인공지능 카메라를 통해 얻은 정보와 사전에 입력한 제어값에 따라 조향장치를 조정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이 개발한 차량은 영상 정보 자체를 이해하고 방향을 조정하는 형태로 진일보했다. 데이터가 쌓일수록 제어능력도 발달해 운전의 능숙도도 증가하게 된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경차를 이용한 자율주행기술이 앞으로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차는 저렴한 유지비와 관리 편의성 때문에 차량공유 서비스에 많이 활용되는데 자율주행서비스를 접목하면 편의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객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로 차량을 호출하면 자율주행차가 해당 장소로 오는 방식이다.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은 앞으로 자율주차, 자율주행 배송 등 연관된 기술 개발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