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주택 규제에...상가로 몰리는 경매

9월 상가 낙찰가율 71%로 18%P↑

아파트는 87%로 오름세 한풀 꺾여




정부가 주택 투기 수요를 원천 차단하면서 유동자금이 상가 매물로 옮기고 있다.

상가정보연구소가 대법원 경매정보를 분석한 결과 올 9월 현재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이 70.8%로 지난해(52.7%) 대비 18.1%포인트 상승했다고 4일 밝혔다. 매년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이 50%대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결과다. 반면 아파트 낙찰가율은 2017년 91.4%로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87.5%로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낙찰률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상가는 올해 9월 현재까지 783건의 경매 물건 중 204건이 주인을 찾아 26%의 낙찰률을 기록했다. 2014년 15.5%, 2015년 21.6%, 2016년 24.4%, 2017년 20.6% 등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뚜렷하다. 반면 아파트는 올해 1만 6,139건 중 6,192건이 매각돼 38.4%의 낙찰률을 기록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는 다주택자 규제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세제 및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가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최근 9·13대책으로 다주택자 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투자수요가 상가로 쏠리는 풍선효과가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상가시장도 자영업 경기 불황과 공급 과잉 등 여파로 공실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입찰 전 신중한 조사와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