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폼페이오 "비핵화 달성시 평화협정…중국도 그 주체될 것"

"中이 비핵화 문제 해결의 일원임을 안다"

"北이 오랜 이웃인 중국과 얘기하려는 것 불가피"

폼페이오 4차 방북길 오르다 / AP연합뉴스폼페이오 4차 방북길 오르다 / AP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5일(현지시간) 향후 북한과의 협상이 목표에 다다르면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평화협정에 서명하게 될 것이고 여기에 중국도 그 주체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4차 방북을 위해 이날 워싱턴DC를 출발한 폼페이오 장관은 첫 방문지인 일본으로 향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대미 협상 실무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중국, 러시아 방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우리는 항상 최선희와 대화를 나눈다. 우리는 그를 잘 안다”면서 “우리는 중국이 문제 해결의 일원이 될 것이라는 걸 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이 잘돼서 우리가 목표에 다다를 때 우리는 정전협정을 끝내는 평화협정에 서명하게 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중국이 그 일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이행하기를 지속하는 노력을 하는 데 대해 환영한다”며 “우리는 이와 관련해 그들(중국)과 아주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이 과정에서 그들이 참여하는 데 대해 가치 있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한 “나는 북한이 그들의 오랜 이웃인 중국과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의 이날 발언은 북미간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빅딜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된 미국측 상응조치에 해당하는 평화협정 체결이 이뤄질 것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미중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중국이 북한 문제 해결의 일원이자 평화협정 체결 주체 중 하나라는 점을 명시한 것은 무역·통상과 대북 문제를 분리, 무역전쟁과 별개로 대북 대응에서는 중국과의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일본과 북한, 한국에 이어 오는 8일(한국시간) 중국을 방문하는 폼페이오 장관은 방중 기간 면담할 중국 측 인사에 대해서는 “만남이 확정됐는지 아직 모른다”며 “이전과 비슷하다면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양제츠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과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