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아는 만큼 누린다”, 중기 지원 입사자 지원 혜택 A~Z

'청년채움공제' 매월 12만원 적립땐

5년뒤 3,000만원 목돈으로 드려요

중기 첫 취업자 전·월세 자금

4년간 1.2% 고정금리로 대출

교통 열악한 산업단지 근무땐

교통비 월 5만원 카드로 지급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최근 서울 구로구 G-밸리 입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최한 청년 채용 박람회를 찾은 청년 구직자들이 기업들의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단지공단한국산업단지공단이 최근 서울 구로구 G-밸리 입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최한 청년 채용 박람회를 찾은 청년 구직자들이 기업들의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단지공단



간판보다는 자신의 직무와 능력에 맞는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는 청년이라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치와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자산 형성에서부터 세금 감면, 융자 지원까지 파격적인 혜택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아는 만큼 누린다’는 말처럼 다양한 지원 제도를 꼼꼼히 살펴보면 예상하지 못한 혜택을 경험할 수 있다.

중소기업을 첫 직장으로 삼은 청년이라면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는 방안을 추천할 만하다. 이 제도는 중견·중소기업과 청년 근로자가 매달 20만원과 12만원 이상을 5년간 적립하면 근로자에게 3,000만원 상당의 목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기업과 근로자 납입금 외에 정부가 성과보상금 격으로 1,080만원을 보탠다. 청년 근로자는 5년 만기 재직 시 본인 납입금의 4배 이상을 수령할 수 있고 기업 납입금에 대한 소득세도 50% 감면받는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소득세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게 취업일로부터 연간 150만원 한도 내에서 5년 간 소득세의 90%를 감면해준다. 지금까지는 15~29세 중소기업 취업자의 소득세를 70%까지 감면해줬지만, 올해부터 감면율과 지원 대상(34세)을 확대했다. 소득세 감면 혜택은 올해부터 2021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되는 만큼 중소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이라면 반드시 챙겨봐야 한다.

관련기사



중소기업 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전·월세 보증금대출 지원 프로그램도 살펴볼 만하다.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처음 입사한 연 소득 3,500만원 미만의 청년의 경우 전월세 보증금을 최대 5,000만원(보증금 1억원 이하 주택)까지 빌릴 수 있다. 기본 대출 기간은 2년이며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 무엇보다 1.2%의 낮은 고정 금리가 매력적이다. 신청은 우리·신한·기업·국민·농협은행 등 5개 시중은행에서 할 수 있다.

교통 여건이 열악한 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청년동행카드)도 있다. 산단 내 중소기업이 산업단지공단에 회사 청년 근로자의 교통비 지원을 신청하면 산단공이 심사를 거쳐 해당 근로자들에게 매월 5만원의 교통비를 카드로 지급한다. 이 카드는 버스·지하철·택시·자가 주유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연간 기준으로 60만원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