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더워도 너무 더웠는데…기상청 연구예산 중 폭염 대비는 '찔끔'

폭염/이미지투데이폭염/이미지투데이



지난 10년간 한반도 폭염일수가 계속 늘어났지만 기상청의 대비는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2009년 4.2일에서 올해(9월말 기준) 31.5일로 급증했다. 연 최고기온도 2009년 33.8도에서 올해 38.0도까지 크게 올랐다.


하지만 기상청의 폭염 대비 예보 시스템 개선이나 폭염 원인 연구는 소홀했던 것으로 지적됐다.

기상청은 지난 10년간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총 9,716억원을 투입했지만, 폭염과 관련한 연구예산은 전체의 0.5%인 53억7,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또 작년에서야 폭염연구센터를 열어 중장기 폭염예보 시스템 개발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또 기상청이 발령하는 폭염특보의 일치율(전체 특보 중 맞아떨어진 비율)은 2012년 82.1%에서 2016년 78.1%로 떨어졌지만, 기상청은 지난해와 올해 자료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고 신 의원은 밝혔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특보 발령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는 2008년 온열질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구간인 33도(35도)와 열지수 32도(41도)가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할 때 폭염주의보(경보)를 발령하는 폭염특보를 도입했다.

반면 일본 등 다른 나라들은 5일 뒤부터 7일간 평균기온이 특정 기온을 초과할 확률이 30% 이상 예상될 때 열사병주의를 발령하는 ‘이상기후 조기경계 정보’를 운용하는 등 폭염 단기·중기예보를 하고 있다. 영국은 시민들에게 4단계에 걸쳐 폭염 대비신호를 보낸다.

신 의원은 “폭염특보를 각 지역의 기상·사회·환경 여건에 따라 연령별·소득 수준별로 나누는 등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