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내 휴대폰 생산량 '뚝'…10년 전의 1/6 수준

국내외 제조사들 생산기지 이전으로

중국·베트남 등 아시아 생산량 급증

휴대전화 판매 매장/연합뉴스휴대전화 판매 매장/연합뉴스



올해 국내 휴대폰 생산량이 10년 전보다 6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올해 국내에서 생산된 휴대폰 수량이 모두 2,500만대로 추정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008년 1억3,600만대와 비교하면 18.4%에 불과한 수치이다. 또한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에서 국내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11.4%에서 1.3%로 급락했다.


반면, 중국, 인도,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내 휴대폰 생산량은 크게 늘어났다. 2008년 당시 생산량 6억2,200만대였던 중국은 올해 13억7,200만대를 생산해 전체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인도의 생산량이 2008년 6,000만대에서 올해 2억6,400만대(점유율 13.6%)로 급증했고, 2013년까지 휴대폰 생산량이 전무했던 베트남도 올해 1억8,800만대(9.7%)를 생산한다. 한국은 브라질(2,700만대)의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10년 전 휴대폰 수천만대를 생산했던 독일(2,700만대), 핀란드(9,400만대), 일본(3,300만대), 대만(3,000만대), 브라질(6,600만대), 멕시코(4,200만대), 헝가리(4,300만대) 등 기존 핸드폰 생산국가들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독일, 핀란드, 헝가리의 휴대폰 생산량이 10만대 이하로 떨어져 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어졌고 일본이 900만대, 대만 300만대, 멕시코 400만대 등으로 겨우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이 휴대폰 생산량 편중이 극심해진 것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비용을 이유로 중국을 거쳐 인도,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했기 때문이다. 현재 애플의 경우, 중국에서 아이폰을 조립하고 인도 현지 공장에서 저가형 아이폰 일부를 제조하고 있다. 삼성전자도 베트남에서 전체 휴대폰 절반 가량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인도 노이다에 세계 최대 규모 스마트폰 공장을 완공해 수량 기준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 공략을 강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에서 톈진 공장 가동 중단을 검토하며 ODM(제조자개발생산) 방식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

이외에도 LG전자는 전체 생산량의 15% 정도를 국내에서, 나머지 수량을 베트남, 브라질 등에서 제조한다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화웨이, 샤오미, 오포를 포함한 중국업체들은 자국 중심으로 스마트폰을 생산하며 인도 현지 생산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SA는 “전 세계 휴대폰 생산량이 중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집중되고 있다”며 “정부 지원 및 세제 혜택으로 인도 생산량도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