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장인 10명 중 9명 “우리 회사에 낙하산 있다”…‘대표 친인척’ 가장 많아

인크루트 직장인 499명 대상 설문




서울교통공사 고용세습 논란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민간 기업에서도 직장인 10명 중 9명이 자신의 회사에 소위 ‘낙하산 직원’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국내 주요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인크루트가 직장인 4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23일 보면 응답자 87.8%가 “(소속) 직장에 낙하산 직원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 가운데 3.5%는 “내가 바로 낙하산”이라고 했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사내 낙하산 직원의 출신은 “대표 친인척(26.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대표 자녀·차기 경영자(15.6%)”“대표 지인의 자녀(15.4%)”“내부 직원의 친인척(13.9%)”“거래처·고객사 자녀(11.3%)” 순이었다. 이밖에 정계인사 지인의 자녀, 국회의원 소개로 입사, 대표가 다니는 교회의 교인, 지역의원 자녀 등도 있었다.


낙하산을 타고 안착한 자리는 인턴부터 대표까지 직급을 가리지 않았다. “사원·주임급(32.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리급(14.8%)과장급·간부·임원급(각 11.9%)·부장급(8.6%) 순이었다. 차장급(8.1%)·인턴(5.7%)은 물론 사장·대표진(3.4%), 고문(2.9%)도 있었다.

관련기사



특히 대표 자녀 등 차기 경영자의 경우 간부·임원급이나 사장·대표진으로 입사하는 비율이 많았다. 대표의 친인척은 과장·차장급·부장급 입사 사례가 많았다. 반면 내부 직원의 자녀나 친인척, 거래처나 고객사 자녀 등은 사원·주임급·대리급 입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낙하산 직원 탓에 회사 생활에 어려움이 따랐느냐”는 질문에 69.6%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존재만으로 부담(20.8%)”“사규에 어긋나는 행동(16.7%)”“담당 업무에서의 차별(14.5%)” 순으로 많았다.

낙하산 인사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일반 직원보다)업무 성과가 낮다(25.5%)”“업무 태도가 나쁘다(23.0%)” 등 부정적 평가가 48.%로 과반수에 달했다. “사람에 따라 다르다(29.5%)”는 중립적 평가도 있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