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불타는 차’ BMW 무더기 추가 리콜...6만5,000대 규모

'118d'·'컨트리맨D' 등 52개 차종 6만5,000대 리콜 결정

서울 시내 한 BMW 서비스센터에서 직원들이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경제DB서울 시내 한 BMW 서비스센터에서 직원들이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경제DB



BMW가 지난 7월 리콜 시행 당시 대상에서 제외했던 118d 등 52개 차종 6만5,000대를 추가 리콜한다. 이들 차량 상당수는 BMW가 리콜 사유로 지목한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를 똑같이 장착하고 있지만 그동안에는 BMW가 화재 연관성이 낮다고 판단해 리콜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국토교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이 조사 과정에서 새롭게 화재 가능성을 발견한 BMW 118d 7,222대를 비롯해 미니쿠퍼 D 컨트리맨·를럽맨·페이스맨 등 52개 차종 6만5,763대에 대해 BMW가 리콜을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BMW는 자사 차량의 연이은 화재로 논란이 커지자 지난 7월 B475, N47T, N57T 등 자사의 디젤 엔진 3종에서 화재위험이 크다고 판단해 이 엔진을 장착한 42개 차종 10만6,317대에 대한 리콜을 시행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로 리콜되는 차량에는 당시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EGR가 달린 23개 차종 3만7,097대도 포함됐다. 이들 차량은 ‘문제 EGR’가 장착됐음에도 당시 BMW가 화재 연관성이 낮다며 리콜 대상에서 제외했던 B47U, B47C, N47C, B37C, N57X 등 5종의 엔진을 사용한 차량이다. BMW는 이와 함께 ‘문제 EGR’를 개선한 신형 EGR 장착 차량 중에서도 2016년12월 완료한 ‘공정 최적화’ 이전 출시된 29개 차종 2만8,666대도 이번 리콜 대상에 포함했다.

관련기사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9월11일 리콜 대상 차량이 아니었던 BMW 118d 차량에서EGR 쿨러내 침전물 확인, 흡기다기관 천공현상 등 화재 차량에서 발생하는 동일한 현상을 발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조사단은 BMW에 해당 차종이 리콜대상에서 제외된 사유와 리콜 조치 검토를 요구했다. BMW는 지난 8일 추가 리콜 의향을 표명하고 대상차량·차량 대수·시정방법·리콜시기 등의 내용을 확정한 제작결함시정계획서(시정계획서)를 22일 국토부에 제출했다.

BMW는 시정계획서를 통해 “기존에 리콜 대상에서 제외한 B47U 등 5종의 엔진은 화재 가능성이 작다고 판단하고, 신형 EGR 장착 차량의 화재 가능성도 작다고 판단하지만, 안전을 위해 예방 차원의 리콜을 결정한 것”이라고 회신했다.

BMW는 오는 24일 해당 차량 소유자에게 리콜 관련 통지문을 발송하고, 다음달 26일부터 EGR 모듈 개선품 교체 및 파이프 클리닝(청소) 방식으로 리콜을 시작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추가 리콜로 BMW 화재 조사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화재 원인과 추가 리콜 적정성 여부, 은폐·축소 의혹에 대해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