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김지영 "이중스파이 아닌 무희의 삶 꿈꾸던 마타하리 담았죠"

<31일 무대 오르는 국립발레단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나에게 맞는 옷 처럼 짜릿

무용수로 성공하고 싶었던

마타하리 좌절감 생생히 전달

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국립발레단 신작 ‘마타하리’의 주역 김지영 수석무용수가 18일 서울 서초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립발레단


“지영, 좀 더 단호하게 팔을 움직여줘. 이 순간 마타하리는 결심을 하는 거야. 더이상 얽매이는 삶을 살지 않겠다고. 슬프지만 단호해야 돼.”

국립발레단의 신작 ‘마타하리’ 개막을 열흘 남짓 앞둔 지난 18일 서울 서초 예술의전당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선 마타하리로 무대에 오를 주역 무용수 김지영과 박슬기, 신승원이 안무가 레나토 자넬라와 함께 1막의 주요 안무를 연습하고 있었다.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 불행한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고 자유를 찾아 떠나기로 결심하는 장면에서 김지영의 얼굴엔 비장함이 채워졌다.


연습 내내 레나토의 주문은 스파이 보다는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 삶을 내던져야 했던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과 그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았던 여인의 욕망을 드러내는데 집중됐다. 물론 세 명의 주역들이 한 동작씩 소화할 때마다 “아름다워(beautiful)” “완벽해(perfect)” 같은 찬사가 이어졌다. 그래도 맏언니 김지영은 멈추지 않았다. 다음 동작으로 넘어가기 전 파트너의 손 위치부터 리프팅 자세에서의 고개 각도까지 세세하게 확인하기를 반복했다. 음악과 스토리, 안무까지 완전히 탈바꿈하는 재창작이다 보니 주역 무용수의 부담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 출신 세계적인 안무가이자 독일 슈튜트가르트발레단 상주 안무가인 레나토는 1993년 당시 슈투트가르트발레단 단원이던 강수진 국립발레단 단장을 주역으로 마타하리를 초연했다. 그러나 이번 작품은 국립발레단 단원들로부터 탄생한 100% 재창작 공연이라는 게 레나토의 설명이다. 도화지에 그려지는 밑그림은 레나토가 그간 수집한 마타하리 관련 저술과 사료에서 나오지만 채색 작업은 김지영을 통해 이뤄졌다.

연습 직후 만난 김지영은 “나에게 맞는 옷을 맞춰 입는다는 게 짜릿하기도 하지만 이 옷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생각하면 부담스럽다”며 “캐릭터부터 동작, 의상 모두 낯설지만 발레 무대에서 강인한 여성 캐릭터를 만나는 것만으로도 관객들에겐 신선한 공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강수진 단장의 초대로 내한한 레나토는 ‘호두까기 인형’을 직접 보고 김지영을 가장 먼저 마타하리로 캐스팅했다고 한다. 최장기 수석무용수로 테크닉은 물론 불혹의 관록까지 묻어나는 김지영이 단연 눈에 띄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레나토는 제 나이가 이렇게 많은 줄도 몰랐대요.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마타하리 연기는 나이가 들수록 관록이 묻어날 텐데 특히 저에게서 마타하리의 강인함을 느껴졌던 것 같아요.”

동양적 움직임이 돋보이는 블록버스터 발레 ‘라 바야데르’ 주역으로도 무대에 섰던 김지영이지만 몸매가 드러나는 관능적인 의상에 몸을 꼬는 동작이 유독 많은 이번 무대는 더욱 만만치 않다. 연습벌레 김지영도 “허리가 부러질 지경이었다”고 할 정도다. 뭇 남성들을 홀렸던 팜므파탈답게 파트너가 여럿인 것도 무용수로서는 난관이다.

“마타하리의 남편 매클라우드부터 유일하게 사랑했던 러시아 장교 마슬로프, 프랑스 스파이 활동을 제안하는 프랑스 대위 라두, 독일 스파이를 제안하는 독일군 장교 칼레, 애인 루소까지 숱한 남성 무용수들과 호흡을 맞춰야 하니 연습시간도 배로 들고 무대에 머무는 시간도 전체 공연의 70~80%나 돼요. 솔로, 군무, 파드되로 구분되는 기존 발레와 달리 동작이 쭉 이어지니 무용수들 입장에선 순서를 외우는 것도 상당한 작업이지만 관객들 입장에선 연극 한 편을 본 느낌이 들 거예요.”

지난해 마타하리 사망 100주기를 맞아 다양한 사료가 공개됐고 레나토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이야기를 작품에 반영할 수 있었다. 1993년 작품이 이중 스파이이자 관능적인 무희로서의 삶을 다뤘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아티스트이자 여성으로서 자유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마타하리가 남성중심사회에서 어떤 굴곡진 삶을 견뎌내야 했는지를 조명했다는 게 레나토의 설명이다.

“이번 작품에서 꼭 눈여겨볼 장면은 마타하리가 프랑스 파리의 발레단 발레뤼스에 들어가고 싶어했지만 거절당하는 부분이에요. 마타하리는 발레뤼스의 무용수 니진스키와 창립자인 디아길레프를 만나지만 이들 모두 마타하리를 원하지 않아요. 최고의 무용수였던 니진스키와 함께 공연하며 무용수로 성공하고 싶었던 마타하리의 좌절감이 얼마나 컸을지 감정을 이입해보고 있어요.”

김지영은 이달 31일과 다음 달 2, 4일까지 총 세 차례 무대에 오른다. 31일~다음 달 4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