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 산업계와 초소형 위성 지구궤도 진입 경험 쌓는다

권세진 교수, 소형 과학로켓 ‘우리새-2호’ 28일 새만금에서 발사

우리새-2호, 고도 1㎞ 도달 후 낙하산으로 떨어져 지상에서 회수

"앞으로도 계속 발사..초소형 위성 지구궤도 진입 경험 쌓을 것"

KAIST 우리새-2호. /사진=KAISTKAIST 우리새-2호. /사진=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산업계와 함께 초소형 위성의 지구 궤도 진입 경험을 쌓기로 했다. 이를 위해 28일 오전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소형 과학로켓 ‘우리새-2호’를 시험 발사할 계획이다.

과학로켓은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의 전 단계로 활용되며 인력양성을 위해서도 활용된다.


우리새-2호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팀이 KAIST 인공위성연구소와 함께 개발했다. 권 교수는 “11월 4일(새만금)과 12월 6일(고흥나로우주센터)에도 관계기관으로부터 발사장과 공역 사용 승인을 받은 상태”라며 “성능을 개량한 로켓을 계속 발사해 초소형 위성(Cube Satellite)을 저비용으로 지구 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경험을 쌓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리새-2호는 길이 2.2m, 직경 0.2m, 무게 20㎏ 규모다. 고체연료와 고농도 액체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쓰는 하이브리드 로켓(추력 100㎏)을 추진기관으로 달았다. 발사 시 엔진이 10초간 작동 후 20여 초간 관성 비행을 해 최대 고도 3㎞에 도달할 수 있다. 이번 발사에서는 공역사용 허가를 받은 1㎞ 상공까지 치솟은 뒤 낙하산으로 낙하해 지상에서 회수하도록 설계됐다.

이번 시험 발사를 위해 연구팀은 새만금개발청으로부터 부지 사용허가를 받고, 국토교통부 항공교통본부로부터 공역사용 승인을 얻었다.

권세진 KAIST 교수권세진 KAIST 교수


연구팀은 과학로켓의 하이브리드 엔진, 비행 컴퓨터, 낙하산 사출장치 등 핵심 부품을 자체적으로 만들었다. 비행 중인 로켓과 교신하는 지상국도 설계했다. 로켓의 비행 자료는 모두 지상 통제국으로 전송되는 동시에 로켓 내부 비행 컴퓨터 메모리에도 저장된다. 비행 중 이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엔진을 차단하고 낙하산을 펼치도록 했다. 우리새-2호의 엔진에는 ㈜스페이스솔루션에서 개발한 고성능 추진체 밸브가 장착됐다. 로켓이 작동하는 동안 전력 공급 없이 연소실로 추진제를 공급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추진제 탱크는 ㈜이노컴에서, 원격 통신기를 포함하는 비행 컴퓨터와 지상 통제기는 ㈜나라스페이스에서 각각 제작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