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로터리] '금융문맹'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한국은 많은 부분에서 선진국 서열에 있지만 다른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뒤처진 분야가 있다. 바로 금융 분야다. 특히 한국의 금융문맹률(financial illiteracy rate)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월등하게 열악하다. 그 결과 현재 한국의 현실은 참담하다.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2년째 부동의 1위이고 자살을 생각하는 원인이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이라고 한다. 빈부격차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결혼과 출산율도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노인층의 빈곤율은 50%에 가깝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전체 인구의 10%가 전체 금융소득(배당소득과 이자소득)의 9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 금융의 불균형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다.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대한 철학의 부재로 주식투자를 투기라고 오해하고 단기투자를 부추기고 있다. 퇴직연금도 대부분 원금보장형 상품에 묶여 있고 심지어 자신의 퇴직연금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많은 것 같다. 사람들은 국민연금 등 공적투자기관장의 임기가 2년 혹은 3년에 불과한데 그 짧은 기간에 수익률을 올리라고 야단이다. 조금만 주식시장이 출렁거려도 모든 미디어가 불안을 부추기고 심지어 청와대에 대책을 내놓으라는 촌극이 벌어진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단기 성과에 매달리는 금융문맹의 전형적인 현상이다. 자본이 주식시장에 흘러가 경쟁력 있는 한국 기업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식시장의 본래 목적인데 그러한 기본은 아무도 다루려고 하지 않는다. 단기적인 주식시장의 부침에 신경 쓰기보다 한국 기업들의 기업가치 상승에 대한 논의를 해야 하고 지속해서 자본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금융산업은 대부분 국민들의 자산 축적과 노후준비에 기여해야 한다. 미국의 퇴직연금제도인 401(k)이 좋은 제도라고 생각한다.

관련기사



한국은 가정과 학교 그 어디에서도 자본주의와 돈에 대해 가르치지 않는다. 잘못된 교육 시스템으로 인해 그 결과는 참혹하다. 20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사교육비에 낭비하면서도 노후준비가 될 것이라고 애써 믿으려고 한다. 내가 가장 이해하기 힘든 것은 사람들이 사교육비를 지불하는 순간 100% 손실이 나는 것에는 민감하지 않고 주식에 투자해서 20% 손실이 난 것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이다. 미국의 많은 부자들은 대부분 자수성가한 사람들이고 어렸을 때부터 돈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한국의 금융문맹을 더는 방치해서는 안 된다. 금융문맹에서 벗어나려면 지속적인 교육과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 어렸을 때부터 주식 등 금융교육을 시켜야 한다.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해야 한다. 당장 사교육비를 노후를 위한 투자로 전환해야 한다. 금융문맹은 마치 전염병과 같다. 소수의 금융문맹인 사람들이 주위를 전염시킨다. 부자처럼 보이려고 노력하지 말고 부자가 되어야 한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