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3분기 스마트폰 '불안한 1위'…화웨이는 2위 '굳히기'

대규모 시장인 중국·인도서 고전해

삼성전자의 상품 샘플이 지난 8월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IFC몰에 마련된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9’ 특별 홍보관에 전시 돼 있다./연합뉴스삼성전자의 상품 샘플이 지난 8월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IFC몰에 마련된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9’ 특별 홍보관에 전시 돼 있다./연합뉴스



삼성전자가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1위 수성에 성공했지만 중국 업체의 추격 등으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가 2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스마트폰 7,230만대를 출하하며 20.1%의 점유율로, 전 분기에 이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작년에 비해 중국 화웨이가 32.5%, 샤오미가 19.1% 성장하고, 애플도 0.4%로 출하량을 소폭 늘렸지만, 삼성전자만 출하량이 1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A는 “삼성전자가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업체 공세에 밀려 대규모 시장인 중국과 인도에서 고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계속 1위 자리를 지키려면 중국과 인도에서 점유율을 늘려야 한다는 뜻이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3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3.1%의 점유율로 샤오미(29.8%)에 밀려 2위였다. 한편, 2위를 차지한 화웨이는 3,91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14.4%의 점유율로 전 분기에 이어 애플을 추월했다. 애플의 출하량은 4,690만대로, 점유율은 13.0%로 3위에 머물렀다. 4∼5위도 중국 업체인 샤오미(9.2%), 오포(8.7%)가 차지했다. SA는 “화웨이가 북미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아시아, 유럽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 인기가 높다”며 “애플 신제품인 아이폰XS 시리즈·아이폰XR 수요도 건재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최근 1위 수성을 위해 중저가폰 전략을 수정했다. 플래그십보다 먼저 혁신 기술을 투입한 갤럭시A7, 갤럭시A9 등 중저가폰을 신흥 시장 위주로 내놓고 있다. 또한 내년에는 폴더블폰으로 새 수요 창출 전략을 선보일 예정이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