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리 메리츠운용 대표
“복리 안다” 韓 21%·미얀마 65%
100세시대 대비 온가족이 배워야
10년이상 볼때 부동산보다 주식
금융교육에 대한 부재가 노후 준비를 가로막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경제TV 개국 10주년을 기념해 6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금융자산포럼에서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한국 가정의 경제권 87%를 소유하고 있는 주부가 복리 개념을 이해한다고 답한 것은 21%에 불과하다는 설문 결과가 있다”며 “이는 미얀마(65.5%)보다 못하다”고 말했다. 존 리 대표는 ‘자녀까지 이어지는 경제독립’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낮은 금융 마인드 때문에 노후 대비도 부족해 정년 이후에도 노동시장에 잔류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 2014년 취업자 증가 수는 53만3,000명으로 이 가운데 55세 이상 취업자가 73%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금융교육은 온 가족이 함께 배워야 하고 100세 시대를 위한 금융교육은 부동산이 아닌 주식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존 리 대표는 설명했다.
그는 “10년 이상의 긴 안목에서 볼 때 주식만큼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자산은 없다”며 “주식을 단기간 내 ‘사고파는’ 대상이라 생각하지 말고 은퇴 후 60세에 되찾겠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존 리 대표는 “과거 10년간 코스피 상승률은 서울 지역 아파트보다 훨씬 빠르게 상승했다”며 “배당주 재투자를 가정했을 때 코스피 10년 누계 상승률은 146.7%로 18.3%를 기록한 강남구 전체 아파트 상승률에 비해 약 8배 높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전체 아파트 10년 누계 상승률은 13.1%에 그쳤다.
결국 100세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가계자산 중 연금 가입률과 가계 금융자산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미국과 독일은 노후 수입원 중 공적·사적 연금의 비중이 각각 67%, 84.3%에 달했다. 이웃 나라인 일본 역시 67.5%를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13.2%에 그쳤다. 존 리 대표는 온 가족의 경제적 독립을 위해서는 자녀의 금융교육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0세부터 30세까지 월 50만원을 꾸준히 투자하면 6억원을 모을 수 있다”며 “10세부터 20년간 투자하면 2억6,000만원에 그칠 정도로 수익이 대폭 줄어드는 만큼 가능한 빨리 투자에 눈 뜨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금융교육의 대상은 단연 주식이 돼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실제로 미국과 일본 등 선진 국가에서는 주식 등 금융교육을 어린 시절부터 의무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존 리 대표는 “주식투자는 결국 시간에 대한 투자라는 발상의 전환을 온 가족이 해야 한다”며 “자녀들에게 용돈을 주고 사교육비를 쓰는 대신 매일 조금의 돈이라도 직접 주식에 투자하는 습관을 부모들이 길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지리 피델리티 연구소장
日근로자 40% “은퇴자금 없어”
주식·펀드비중 늘려 은퇴후 준비
‘길어진 노후, 100세 시대 생존술’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노지리 사토시 피델리티 투자자교육연구소장은 은퇴자금 마련을 위해 시행착오를 겪었던 일본의 경험을 소개했다. 노지리 소장은 “일본은 전체 근로자 중 은퇴자금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40%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가계자산 중 주식과 펀드의 비중이 20%를 밑돌면서 가계자산 증가율은 2%대에 머물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식과 펀드의 비중이 40~50% 수준인 미국과 영국이 가계자산 증가율이 갈수록 올라 5~6%까지 기록한 것과 대조된다. 다행히 일본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투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변화가 찾아왔다고 그는 말했다. 2015년 전까지만 해도 주가지수가 올라도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 비율은 오히려 하락했지만 그 이후로는 분위기가 반전됐다. 최근 3년 사이에 5% 이상 늘어나 전체 근로자 중 약 34%가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부터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일본개인저축계좌(NISA)가 도입되고 자본소득세를 경감해주는 등 제도 개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올해도 20년간 비과세 조치를 해주는 월적립식 NISA가 출시되는 등 투자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이다. 그는 “일본에서는 현재 3만엔 혹은 10만엔과 같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하자는 캠페인이 불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접근”이라며 “이 같은 방식보다는 ‘적립률’을 개념으로 연봉 대비 일정 비율을 적립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각자 소득 수준에 맞는 적립률을 확고히 해야 연 소득이 오를수록 저축액도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